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4회 전체회의를 열고, 한국도로공사서비스 등 12개 공공기관에 3900만원의 과태료 부과를 의결했다.
이번 조사는 공공부문 개인정보 관리수준 진단결과 미흡 판정을 받은 15개 기관과 개인정보 유출 및 오남용 의심사례로 언론에 보도된 5개 기관 등 20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실시했다.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 오남용의 근원이 되는 개인정보 처리시스템의 접근권한 관리, 접속기록, 계정 관리 부분을 중점 점검한 결과, 12개 기관이 안전조치 의무(개인정보보호법 29조)를 다하지 않은 사실을 확인했다.
12개 기관은 ▲한국도로공사서비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한전엠씨에스 ▲한국해외인프라 도시개발자원공사 ▲88관광개발 ▲수자원환경산업진흥 ▲여수시도시관리공단 ▲인천남동구도시관리공단 ▲동북아 역사재단 ▲서울물재생시설공단 ▲경기교통공사 ▲아산시청이다.
박영수 개인정보위 조사총괄과장은 “접근권한 관리, 접근통제, 접속기록 점검 등 안전조치 의무는 개인정보 보호에서 가장 기본적인 사항”이라며 “공공기관은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국민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규를 보다 철저히 준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개인정보위는 2022년 7월 마련한 범정부 ‘공공부문 개인정보 유출 방지대책’에 따라 공공부문의 개인정보 관리실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지속 노력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개인정보위, 지마켓 등 3개 업체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과태료 부과
- 개인정보위, 개인정보보호 위반 4개 온라인 사업자에 벌금 5억2000만원 부과
- 개인정보위,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 통과 늦어진 이유는?
- 개인정보위, 배민·쿠팡이츠 등 배달앱 민관협력 자율규제 규약 의결
- 개인정보위, '미동의시 서비스 거부한' 카카오모빌리티에 600만원 과태료 처분
- '487만 개인정보 유출' 한국맥도날드에 개인정보위 과징금 7억원 부과
- 탈의 공간에 CCTV 설치한 성형외과, 개인정보위 과태료 500만원 처분
- "국민 62.2%, 개인정보 처리 동의 내용 확인 안한다"
- 고학수 개인정보위원장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국외이전 노력할 것"
- [단독] 고학수 개인정보위원장, 26일 통신3사·OTT 업계 만난다
- 개인정보위, 개인정보 보호·활용 기술 스타트업에 최대 1억 지원
- 고학수 개인정보위 위원장 "기업 서비스 개발 제도 기반 마련"
- 개인정보위, 공공부문 집중관리시스템 개인정보 안전조치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