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월 20일부터 25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개최된 제5차 아·태지역 WRC 준비회의(APG23-5)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WRC(World Radiocommunication Conference)는 UN ITU(국제전기통신연합)가 주최해 전세계 주파수 분배 및 전파통신분야 중요 사항을 결정하는 회의로 4년마다 개최돼 전파올림픽이라 불린다. 올해는 11월에 UAE(두바이)에서 4주간 개최될 예정이다. 

이번 APG회의는 아·태지역 38개 회원국 대표단과 관계자 등 약 450여 명이 참석했다. 우리나라는 국내 전문가(관계부처 포함) 총 70여명이 참가하는 정부 대표단을 구성해 이동통신 및 과학·위성·항공·해상 분야의 총 23개 WRC23 의제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우리나라는 이번 APG 회의에서 개최국으로서 아·태지역 주요 국가 및 미국과의 양자 회담을 추진했다. 각 국의 관심 현안 등을 포함해 WRC23 주요 의제에 대한 아태지역의 공통의견을 주도적으로 도출하고, 차세대 이동통신(6G) 후보 주파수 발굴 연구를 제안하는 등 27년에 개최될 차기 WRC의제 발굴도 병행·추진했다.

일본과 호주 정부와 실시한 양자회담의 경우, 양국 정부는 우리 정부가 제안한 6G 주파수 발굴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함께 공감하고, 차기 APG23-6회의(8월, 호주)에서 보다 상세한 후보 주파수 대역 발굴을 위해 추가적인 후속 연구를 추진하기로 협의했다.

미국의 경우 지난 2월 개최된 한-아세안 디지털 장관회의(2월 10일, 필리핀)에서의 만남을 이어, 이번 APG회의에서도 WRC 의제에 대한 상호협력을 더욱 발전시켜 나갈 것을 재확인했고, 6G 후보주파수 대역 발굴 연구 등 차기 WRC 의제에 대한 지속적인 협력도 이어가기로 합의했다.

미국은 APG회의에 CITEL(Inter-American Telecommunication Commission, 미주통신위원회) 대표단 자격으로 참석했다. 

과기정통부는 우리나라가 국제무대에서 6G 기술 개발과 표준화(전파통신부문) 활동 등을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난 APG23-4(태국, 2022년 8월) 회의에 이어 이번 부산회의에서도 ITU 담당 국장(마리오 매니위츠(Mario Maniewicz))과의 미팅을 이어가는 등 국내 6G 전문가의 국제무대 파견 노력을 이어갔다.

최우혁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국내에서 개최된 이번 APG 회의를 통해 주요 국가와의 주파수 정책 공조를 이끌어 내고, 6G 후보주파수 발굴을 위한 연구 필요성을 선도적으로 제안하는 등 아·태지역 국가들의 협력을 이끌어냈다"고 평가했다. 이어 "앞으로 도심항공교통(UAM), 6G, 무선충전, 저궤도 위성 등과 같은 신산업 등장이 예상되는 만큼 새로운 주파수 확보와 서비스간 주파수 혼·간섭 방지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