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코빗]](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302/469808_439044_3311.png)
[디지털투데이 강주현 기자]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이 글로벌 기준에 따른 고객사 재무 보고 관련 내부통제에 대한 인증인 SOC 1의 1단계 절차를 완료함에 따라 SOC 1 Type 1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
SOC(System and Organization Controls) 인증이란 미국공인회계사회(AICPA) 및 국제감사인증기준위원회(IAASB)가 제정한 인증업무 기준에 따라 독립된 감사인이 해당 서비스 제공 회사의 내부통제 적절성을 평가하고 확인하는 제도다.
인증은 평가하는 항목에 따라 SOC 1(고객사 재무 보고 관련), SOC 2(서비스 보안성 등), SOC 3(서비스 보안성 등 운영의 일반목적 보고)으로 구분된다. 또 각 인증은 2가지 단계로 나뉜다.
유형 1(Type 1)에서는 특정 기준일 시점의 내부통제 설계에 대한 의견을 표명하고 유형 2(Type 2)에서는 일정 기간에 걸쳐 내부통제가 설계된 대로 효과적으로 운영됐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각 유형이 완료될 때마다 이를 인증하는 보고서를 발간한다.
코빗은 지난해 국내 5대 회계법인 중 한 곳인 삼덕회계법인과 함께 SOC 1의 1단계 과정을 진행한 결과 이번에 SOC 1 Type 1 인증을 완료했다. 코빗은 올해 SOC 1의 2단계 과업을 수행해 내년 1월 중 SOC 1 Type 2 인증을 받는다는 계획이다.
한편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들의 경우에는 코인베이스와 제미니가 이미 SOC 1의 두 단계를 완료한 바 있다.
코빗은 SOC 1 인증 획득을 통해 법인 고객 신뢰도 제고를 기대하고 있다.
또 코빗 서비스를 이용하는 법인의 감독 당국이 진행하는 감사 시에도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변화하는 회계 및 법규상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상자산 거래 서비스에 대한 신인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오세진 코빗 대표는 “최근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발전을 위해 외국인과 법인의 가상자산 투자를 허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진 상황에서 거래소도 그에 걸맞은 자격을 갖춰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코빗은 국내 최초로 지난해 거래소 보유 자산 내역 공개를 시작으로 이번 SOC 1 인증 절차도 성공적으로 마무리함으로써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가상자산 거래소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코빗 리서치센터 "STO 허용은 조각투자 시장성 입증"
- 코빗, 국내 프로배구 NFT ‘코보 스파이크’ 판매
- 코빗, 임직원 가족 보유 자사 계정 모니터링…내부통제 강화
- 코빗-세번째 공간, 디지털 미술 작품 NFT 서비스 협력
- 코빗, 스테이킹 서비스에 가상자산 5종 추가
- 코빗, 자체 가상자산 증권성 판단 지수 개발
- 코빗 '데일리 보너스 시즌2' 누적 참가자 5만명 돌파
- 코빗, 카이코 선정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평가 1위
- 코빗 "미 은행 뱅크런으로 금리 인상 둔화·코인 상승 전망"
- 코빗, 오토 트레이딩 서비스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