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4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인터넷침해대응센터(KISC)를 방문해 연초 국내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 대응 현황과 비상대응 체계를 긴급 점검했다.
인터넷침해대응센터는 24시간 365일, 해킹 등 사이버침해사고 대응 모니터링 종합상황실 운영, 악성코드 분석 및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 지원 등 사이버 위협을 대응한다.
최근 국제 해킹조직의 우리나라 기관 등에 대한 사이버 공격 예고가 있었고, 국내 다중이용서비스에 대한 개인정보 해킹 및 랜섬웨어 유포 등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 공격들도 다수 발생하고 있어 사이버 위기 상황에 대한 엄중한 경계태세를 갖춰야 할 상황이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와 KISA는 인터넷침해대응센터를 중심으로 해킹·랜섬웨어·스미싱 등에 대비해 연휴기간 중에도 사이버 현장을 24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다.
특히 사이버 공격에 대비하고 혹시 모를 침해사고 발생 시 신속한 복구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6만 기업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들과 사이버위협정보공유시스템(C-TAS) 참여 기업(약 2200개)들에게 관리자 계정 보안강화와 비상 신고채널 가동을 요구하는 내용의 긴급 상황을 전파(이메일, SMS, SNS 등) 하는 등 비상대응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사이버위협정보공유시스템은 전 산업분야에서 발생하고 있는 침해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보안기업, 금융, 전자상거래, 호스팅 등 기업이 참여해 위협정보 공유을 협력한다.
이종호 장관은 설 명절에도 비상근무 중인 관계자들을 격려하며 “국민과 기업들이 사이버 침해사고로 고통 받지 않도록 철저한 감시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특히 최근 국제 해킹조직의 움직임을 면밀히 분석해 공격 시도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CSAP 고시 개정안 30일까지 재행정예고...업계 의견 일부 반영
- 정부, LGU+ 고객정보 유출 조사 중..."2018년 데이터 가능성 높아"
- 과기정통부, 양자컴·반도체·슈퍼컴·초전도에 1557억 투자
- [단독] 과기정통부, 디지털전략팀 신설...디지털플랫폼팀 통신정책관(국) 이관
- 박윤규 2차관, CES 현장 찾아 국내 디지털 혁신기업 글로벌 진출 활성화 모색
- 중국 해커조직 국내 12개 기관 사이트 해킹...피해 확산
- 과기정통부, 이음5G 지원포털 서비스 시작
- 외교부, 디지털 이슈 직접 대응 나선다...왜?
-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챗GPT 동향·정책 방향 논의…"챗GPT는 신호탄"
- AI 확산의 그늘?...커지는 사이버심리전 우려
- [단독]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에릭슨LG CEO 만난다...6G 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