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14 및 아이폰14 프로 [사진: 애플]](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301/468211_437627_5548.jpg)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국가·공공기관에서 업무용 스마트폰으로 애플 아이폰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국가정보원은 11일 아이폰이 국가·공공기관에 도입될 경우 보안적합성 검증기준으로 활용되는 ‘iOSㆍiPadOS 모바일 단말 보안관리제품’의 ‘국가용 보안요구사항’을 국정원 홈페이지와 국가사이버안보센터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그동안 일부 국가·공공기관 관계자들이 아이폰 제품을 사용했지만 이는 개인용도였으며 업무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었다.
아이폰용 ‘모바일 기기 관리(MDM)’ 제품에 대한 ‘국가용 보안요구사항’이 올해 잠정 확정됨으로써 해당 보안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애플 아이폰 제품군이 국가·공공기관 업무용 스마트폰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국정원은 국가·공공기관 보안관리자가 업무 목적으로 아이폰 제품군 도입 시 카메라, 마이크 등 하드웨어 자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아이폰을 분실했을 경우 원격잠금 또는 초기화 등의 긴급 조치를 취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이번에 공개한 국가용 보안요구사항에 대해 오는 20일까지 추가 의견을 접수한 뒤 최종안을 확정해 2월 1일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국정원은 앞서 지난해 6월 ‘IT 보안제품 보안적합성 검증정책’ 설명회에서 아이폰용 ‘국가용 보안요구사항’ 개발 방침을 밝히고 업계 의견을 수렴하는 등 관련 작업을 진행해 왔다. 국정원 관계자는 “그동안 안드로이드폰뿐만 아니라 아이폰도 공공분야 업무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요청이 많았고 최근 애플사에서 아이폰 MDM의 기능을 보완해 한국 정부의 요구사항을 충족함에 따라 개발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당초 기관 소유의 아이폰만 허용할 방침이었으나, 국가·공공기관이 아이폰을 일괄 구매하는데 따르는 예산, 행정 부담과 사용자의 편의 제고, 업계 의견 등을 고려해 개인 소유 아이폰도 소정의 절차를 거치면 업무용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또 업무용으로 안드로이드폰을 사용하느냐 아이폰을 사용하느냐의 선택은 해당 기관에서 결정할 사항이라고 밝혔다.
국정원 관계자는 “아이폰용 MDM 제품에 대한 보안기준이 마련되면서 국가·공공기관은 보안성을 갖추면서도 보다 다양한 모바일 업무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며 “국정원은 앞으로도 사이버안보 수호기관으로서 업계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하며 관련 정책을 계속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애플 아이폰15, 초기 시험 생산 시작했다
- 등급 나누기의 희생자… 아이폰14 플러스가 잘 안 팔리는 이유
- 아이폰14 효과로 10월 5G 가입자 75만명↑...연내 3000만명은 힘들 듯
- "애플, 4분기 스마트폰 시장서 삼성 제치고 1위 전망"...아이폰14 효과
- 애플 어쩌나…중국 공급망 리스크에 폭스콘 '휘청'
- 中 폭스콘 아이폰 공장 멈췄다… 애플 '중국 리스크' 현실화
- 국정원 후원 양자내성암호 공모전 학술행사 개최
- 스마트폰 좀비 계정의 위험성 경고…연구
- 10명 중 7명, 일어나자마자 스마트폰부터
- 아이폰 보안은 안전하다? 보안 뚫는 사이버 범죄 '성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