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하려는 중소·벤처·중견기업 및 의료기관 등을 대상으로 AI 솔루션을 지원하는 ‘2023년 AI 바우처 지원 사업’을 시작한다고 28일 밝혔다.
AI 바우처 지원 사업은 AI 부문에서 경쟁력 있는 기술을 가진 기업들이 자사 AI 기술을 알리고, AI 기술이 필요한 기업을 지원하려고 지난 2020년 도입됐다.
이 사업에 내년 700억 원 규모 예산이 편성됐고, 정부 과제 250여 개를 선정하게 된다. AI 반도체, 글로벌 진출, 소상공인 분야가 올해 집중 육성 분야로 신설됐다.
과기부는 AI 바우처를 이용하고자 하는 기업을 모집, 선정해 최대 3억원 상당의 바우처를 제공한다. 희망 업체는 AI 활용 사업 계획서를 제출하고, 과기부에서 사업 구체성, 실현 가능성 등을 평가하게 된다.
신설 분야의 수요 기업은 다음 달 공모를 거쳐 선정하며, 분야 별 지원 규모나 자격은 과기부가 별도 공지할 예정이다. 내년 AI 바우처 이용을 희망하는 기업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공고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과학기술·디지털 기반 대한민국 도약 8대 핵심과제 추진
- 과기정통부-NIA,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6.5 출시...멀티클러스터·경량화 강화
- 과기정통부, '데이터 중개' 데이터거래사 등록 교육 1월초 접수
- "정부, 알뜰폰 망도매대가 인하 협상 일몰 전향적 검토해야"
- 과기정통부, 범부처 합동 '디지털 전략반' 구성...첫 회의 개최
- 과기정통부, 내년 5G중간요금제·디지털일상화 적극 추진
- 과기정통부, 디지털 플랫폼 발전 방안 3대 추진전략 발표
- 5G 커버리지 작년보다 75% 증가…SKT 5G 커버리지·속도 가장 우수
- 과기정통부, 2023년 R&D 예산 31조574억원으로 확정
- 과기정통부, 데이터 전문기업들과 '데이터 유통‧활용 활성화 방안' 논의
- 5G품질, SKT '속도·커버리지'·KT '다중시설'·LGU+ 실내품질 '우수'...내년 쟁점 '주파수'
-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 디지털 모범국가 실현"
- 정부, 새해도 5G 중간요금제 계속 추진...통신사들 대응 어떻게?
- 정부, 정보보호 신속확인제품 첫 승인…"평가기준 없어도 사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