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궤도 위성통신망 개념도. [사진 : 과기정통부]](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210/463161_432996_1742.jpg)
[세종=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정부가 6G 이동통신시대 핵심 인프라인 ‘저궤도 위성통신’ 경쟁력 확보 방안 마련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G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사업(R&D)’ 기획안에 대한 공청회를 18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청회는 위성통신 분야 업계 및 학계 전문가를 초청해 6G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사업 기획안의 주요 내용을 공유하고, 보완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했다.
과기정통부는 공청회에서 제기된 의견을 반영해 올해 연말 국가연구개발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에 신청할 예정이다.
저궤도 위성통신망은 전쟁이나 자연재해로 지상망이 파괴돼 통신이 불가할 경우 지상망에 버금가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스페이스X, 원웹 등 글로벌 기업의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 선점 경쟁이 치열하나 국내 기업은 기술력과 우주검증이력 측면에서 시장 진입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글로벌 기업에 의한 국내 위성통신 시장 잠식을 방지하고 기간통신망의 해외 위성통신 의존을 탈피하기 위해 국내 독자 기술 확보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과기정통부는 2024년부터 2031년까지 8년간 약 5700억원 규모로 위성통신 관련 ▲통신 탑재체 ▲본체 ▲시스템 및 체계종합(조립·발사·운용 등) ▲지상국 ▲단말국 등 5개 분야의 핵심기술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공청회에서는 ▲사업 추진배경 및 목적 ▲위성시스템 및 본체 ▲통신 탑재체 ▲지상・단말국 및 활용에 대한 사업 기획위원회의 발제를 토대로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 향후 전망과 기술개발 방향에 대한 참석자들 간의 질의응답 및 토의를 진행한다.
최우혁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저궤도 위성통신은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운항선박 등 신산업 창출을 뒷받침하고, 재난 상황에도 신속히 대응가능한 차세대 네트워크의 핵심”이라며 “정부는 국내 기업들이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의 핵심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에 적극 투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단독] 과기정통부, SKT 5G 인접대역 3.7㎓ 20㎒ 폭 경매로 사실상 결정
- 과기정통부 "카카오 장애 악용 해킹·스미싱 주의"
- 과기정통부 "판교 IDC 화재 피해 95% 수준 복구"
- 전세계 위성항법 전문가들 2025년 韓 모인다
- [단독] CSAP 추진 과기정통부, 대통령실 선임행정관 TO 공석
- "카카오·네이버 주요 서비스 대부분 정상화…화재원인 파악 중"
- 과기정통부, 우주개발진흥법 시행령 개정 입법예고
- 과기정통부, 알뜰폰 전파사용료 2~3년 면제 연장 추진
- 과기정통부, 넷플릭스법 개정 추진..."상시 자료 제출 요구"
- 카카오發 플랫폼 규제 급진전...과기정통부·방통위·공정위 총공세
- 과기정통부, 데이터센터 화재 등 비상 상황 대비 보호조치 긴급 점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