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미래 국가 경제·안보를 위해 2030년까지 KT,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등 산·학·연과 협력해 양자 기술 분야 전문 인력 1000명을 확보한다.
과기정통부는 KIST에서 ‘제1차 전략기술(양자 기술) 인재정책 간담회’와 ‘양자대학원 및 기후기술 인력양성 센터 현판식’을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각 기술별 인력현황에 맞는 인재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민·관이 긴밀하게 소통하며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과기정통부는 산·학·연이 협력하여 기술별 인재확보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이번 간담회를 시작했다. 간담회를 통해 각 기술별 인력 현황을 제대로 분석·공유하고, 현장의 의견을 수렴해 향후 인재정책 추진과제를 발굴할 예정이다.
제1차 간담회는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 분야이자, 우리나라가 신속히 추격해야하는 양자 기술 분야에 대한 인재확보 전략을 주제로 진행됐다. 양자기술의 국내·외 인력현황 분석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인재확보 정책 방향에 대해 토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정부가 양자 관련 논문 주저자와 교신저자를 분석한 결과, 국내 연구자수는 500명 수준에 불과했다. 미국 3100명, 일본 800명 등 경쟁국에 비해 절대규모 면에서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과기정통부는 최고급 전문인재(박사급) 양성을 목표로 국내 대학(원)이 연합해 양자대학원을 운영하는 사업을 올해부터 2024년까지 매년 1개씩 대학연합을 선정해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이외에도 양자 기술 분야 신진연구자가 리더급까지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재능 기반의 성장사다리 지원 체계 마련을 검토한다.
오태석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과기정통부는 2030년까지 양자 전문인력 1000명 이상 확보를 목표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양적 규모 확대뿐만 아니라, 연구자 역량도 향상될 수 있도록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50큐비트 한국형 양자컴퓨터 구축 등 대규모 연구개발(R&D) 사업을 중심으로 핵심기술 개발 및 석·박사 공동 교육훈련 등 연구-교육의 유기적 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단독] 11월 4일 방송·미디어법 정부 개편안 방향성 나온다
- 5G 28㎓ 대역 활성화 대책 다음달 나오나..."정부·통신사 입장차 팽팽"
- 과기정통부, 5G특화망 '이음5G', KT·한전·세종텔레콤 등 5개 기관 지정
- 과기정통부, 디지털플랫폼생태계 자율규제 방안 연구 착수
- 과기정통부, '뉴욕 구상' 실현 위한 'AI반도체 연합' 출범
- 과기정통부, 'K메타버스 페스티벌' 개최
- 9월 ICT 수출 3개월만 200억 달러대 회복…반도체 반등 실패
- [단독] CSAP 추진 과기정통부, 대통령실 선임행정관 TO 공석
- 전세계 위성항법 전문가들 2025년 韓 모인다
- "카카오·네이버 주요 서비스 대부분 정상화…화재원인 파악 중"
- 구현만 하면 '노벨상'…전 세계 뒤집은 상온 초전도체 'LK-99' 정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