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달성 목표 [사진: 산업통상자원부]](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209/462196_432011_3015.png)
[디지털투데이 고성현 기자] 정부가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3강 달성을 위해 2030년까지 전기차 330만대 생산과 세계시장 점유율 12%를 달성하겠단 목표를 설정했다. 이를 위해 향후 5년 간 95조원 이상을 투자하고 미래 인력 3만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이창양 산업부 장관 주재로 '자동차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미래 전략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3강 달성을 위해 ▲전동화 글로벌 탑티어 도약 ▲생태계 전반의 유연한 전환 ▲안정적 공급망 구축 ▲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신산업 창출 등을 전략으로 내세웠다.
이를 위해 전동화 경쟁력의 핵심인 소프트웨어(SW)·반도체 역량을 강화해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Software Defined Vehicle)으로의 전환에 속도를 높인다.
우선 2026년까지 운영체제(OS), 무선업데이트(OTA) 등 차량용 핵심 소프트웨어를 국산화하며, 미래차 인력양성 사업을 확대 개편해 2030년까지 기업 수요 중심 소프트웨어 융합인력 1만명을 양성한다. 또 완성차 기업, 개발자, 정부 간 오픈 이노베이션 사업을 추진해 차량용 소프트웨어 인증 지원센터를 구축해 2030년까지 차량용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300개를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차량용 반도체는 핵심기술 선점과 공급망 내재화, 생태계 조성 및 기업지원 등으로 프로세서, 센서, 전력반도체 등 16대 핵심품목을 집중 개발해 세계시장 점유율을 지난해 3.3%에서 2030년 6.6%로 두 배 높인다.
전기차, 수소전기차 개발 추진에도 힘을 싣는다.
전기차는 전기·전자 통합 제어 시스템 및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 개발로 초급속 80% 충전 기준 현재 18분 충전속도를 2030년 5분까지 단축한다. 500km 수준인 1회 충전 주행거리는 2025년 600km로 늘린다. 수소차는 차세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개발로 상용차 기준 30만km 수준의 내구성을 2030년 80km까지 확대하며, 연비도 13km/kg에서 2030년 17km/kg까지 개선할 계획이다.
정부는 규제 걸림돌 해소와 세제 지원 등으로 완성차 업계의 향후 5년간 95조원 이상의 투자 계획을 밀착 지원해 투자 촉진에 나선다.
![미국 IRA 대응 및 주요 각국별 맞춤 수출 전략 [사진: 산업통상자원부]](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209/462196_432013_3030.png)
공급망 안정화와 완성차 생태계의 유연성 확대를 위한 사업도 지원한다.
자동차 부품기업 유형에 따라 맞춤형 정책을 지원해 사업재편과 신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한편, 2030년에도 신차 판매의 절반이 될 내연기관차 고도화 지원도 병행할 계획이다.
최근 발효된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IRA)은 민관 합동으로 대응해 전기차 세액공제 개편에 따른 우리 자동차 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한다. 북미 최종 조립 및 배터리 요건이 우리 기업에 최대한 유리하게 마련되도록 대미 협상을 지속하며, 미국 현지 생산을 앞당기고 IRA 요건에 맞는 배터리 조기 확보 등 업계 차원 대책을 강구할 방침이다.
공급망 불안에 따라 자국 중심주의로 흘러가는 주요국 방침에도 대응한다. 업계는 시장 대응형 차량 출시로 수출을 강화하고 현지 생산체계를 구축해 국내외 생산물량의 전략적 배분에 나선다. 정부는 이를 지원하는 한편 대외 의존도가 높은 품목을 등급별로 관리하고, 현지 공관·무역관 등에서 수급 현황과 현지 동향을 모니터링해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예정이다.
정부는 주요 원자재 안전재고 확보를 위해 정부 비축을 확대하며 중소·중견기업 대상 품목별 대체 공급선을 발굴·안내한다. 아울러 대형모터, 초고속 베어링 등 해외 의존도가 높은 전기·수소차 핵심부품 14종 기술 자립화 지원을 통해 소재 국산화율을 70%에서 2025년 9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자율주행 기술 개발 부문에서는 현재 선진국 대비 84% 수준인 핵심부품 경쟁력을 2027년까지 100% 수준으로 올릴 예쩡이다. 이를 위해 2024년부터 자율주행 부품 상용화를 위한 종합 연구단지를 구축, 실증 테스트베드와 연구인력 양성 기능을 수행토록 지원한다.
국토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공공서비스, 언택트 서비스, 인포테인먼트 등 자율주행·커넥티드 기반 서비스 콘텐츠 개발과 실증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미국 IRA 법안 등으로 현재 자동차 산업에 닥쳐온 파고를 넘어 우리 자동차 산업이 한 단계 더 높은 곳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민·관이 머리를 맞대야할 시점"이라며 "앞으로도 업계와 지속 소통하면서 세부 분야별 정책을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산업통상자원부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尹대통령 '뉴욕구상' 구체화…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발표
- LG엔솔, 북미 원료 공급망 확보...캐나다 광물업체 3곳과 협약
- 산업부, 내년 예산 10조7437억…반도체·원전 육성
- 美 인플레감축법에 '비상'...정부 합동대표단 오늘 긴급 방미
- 미 인플레 감축법 대응 나선 산업부…"민관 공동 대응·EU 공조 검토"
- 이창양 장관 "바이오헬스·이차전지 등 유망 신산업 성장 지원"
- 산업부, 반도체 등 첨단·주력 산업 전방위 지원…투자 활성화 노린다
- 산업부, 차량용 반도체 성능·신뢰성 평가 지원…3년간 250억원 투입
- 해리스 부통령 방한...한-미 IRA 논란 해법 찾고 있지만…
- 미국, IRA 세부규정 마련 절차 개시…내달 4일까지 의견수렴
- 산업부, IRA 대응 3차 민관협동 TF 개최…세부규정 마련나서
- 반도체 수출 두 달 연속 하락세…휴대폰 수출 21.2% 증가
- '제15회 반도체의 날' 기념식 개최…83명 유공자 훈·포장 수여
- 파워큐브세미, 시리즈B 투자 유치 성공
- 산업부, 올해 친환경차 R&D 지원 확대…예산 647억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