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국정원]](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207/455314_428685_2910.jpg)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국가정보원은 산·학·연(산업계, 학계, 연구계) 보안전문가들과 사이버보안 정책 발굴 및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사이버안보 민관 합동 협의체’를 지난 26일 발족했다고 28일 밝혔다.
협의체에는 국정원 사이버안보센터를 비롯해 국내 대학 교수, 연구기관 연구원, IT기업 전문가들이 참여했으며 ▲클라우드 ▲암호기술 ▲보안인증 3개 분과로 구성됐다. 협의체는 분과별로 구체적인 정책 개선방안 등을 논의해 나갈 예정이다.
또 향후 인공지능(AI), 5G 등 IT 최신기술과 관련된 새로운 분과도 추가 개설해 다양한 분야에서 민간 전문가의 의견을 적극 수렴할 계획이다.
발족식 행사에서 참석자들은 정부 및 산·학·연의 공통 관심사인 안전한 디지털플랫폼 정부 구축을 위한 보안대책 수립 및 IT 신기술 등장에 따른 사이버 분야 신안보 위협 대응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또 보안 분야 학계, 연구기관의 최신 연구 방향성 및 IT 산업계 기술 트렌드 관련 정보 교환 방안 등에 관한 토의도 진행했다.
국정원 사이버안보센터 관계자는 “이번 협의체 발족을 계기로 사이버보안 분야의 민관소통은 물론 국가 차원의 사이버 역량 강화를 위한 민관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보안적합성 검증 스마트카드, 양자암호제품으로 확대"
- 尹정부 사이버안보 정책은?...국제 공조 강화 전망
- 대한민국 NATO 사이버방위센터 정회원 가입
- 국정원, 나토 사이버방위센터 주관 ‘락드쉴즈 2022’ 참가
- 후오비코리아, 국제 정보보호 인증 2종 획득
- 국가정보원, ‘2022 사이버공격방어대회’ 개최
- 국정원, ‘2022 사이버안보 국제학술회의(GCPR)’ 개최
- 국가안보실, 사이버안보 컨트롤타워 된다...기본법 추진
- 국정원, IT보안제품 ‘보안적합성검증’ 대상 차등화...어떻게 바뀌나
- 사이버안보 총괄은 어디서?...카카오 사태에 복잡해진 셈법
- 사이버안보 컨트롤타워 이번엔 만들어질까?...국정원, 제정안 입법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