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포토마스크를 들여다보는 윤석열 대통령 [사진: 대통령실]](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207/454417_428350_5157.jpg)
[디지털투데이 고성현 기자] 정부가 반도체 산업 지원을 위해 기업들의 5년간 340조원 규모 투자를 뒷받침한다. 반도체 연구개발(R&D)과 설비투자 세제 혜택, 인력 양성 등이 핵심이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1일 동진쎄미켐 발안공장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한 전략은 윤석열 정부 출범 후 기획재정부, 과학기술통신부 등 관계 부처 합동으로 협의를 거쳐 마련했다.
정부는 향후 5년간 340조원 규모를 투자하는 반도체 업계를 위한 인프라 구축과 세제 혜택 확대 등에 나선다. 우선 대규모 신증설이 진행 중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평택캠퍼스의 전력·용수 등 필수 인프라 구축비 일부를 국비로 지원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용인에 130조원을, 삼성전자는 평택에 120조원을 각각 투자해 단지 조성에 나선 상황이다.
반도체 단지 용적률은 기존 350%에서 490%로 최대 1.4배 상향 조정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해당 규정으로 반도체 클린룸 규모가 평택 12개에서 18개로, 용인 9개에서 12개로 각각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반도체 R&D와 설비투자를 향한 세제 혜택도 확대된다. 정부는 조세특례법 개정으로 반도체 등 국가전략기술 설비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늘릴 방침이다. 계획대로 조특법이 개정되면 대기업 반도체 설비투자 세액공제율은 6%에서 8%로 2%p 오른다. 이는 중견기업 수준과 동일해지는 수치다.
아울러 반도체 기업 노동·환경 규제를 개선한다. 현재 일본 수출 규제 관련 품목 R&D에만 허용되는 특별연장근로(주 52시간→최대 64시간)를 오는 9월부터 전체 반도체 R&D로 확대할 계획이다. 화학물질관리법의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설 설치·관리 기준에 관한 반도체 특화고시도 연말까지 제정, 국제기관 인증 장비는 기준 적용을 면제해주기로 했다.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전략 [사진: 산업통상자원부]](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207/454417_428351_5314.jpg)
인력난에 휩싸인 반도체 업계를 위한 인재 육성도 나선다.
정부는 오는 2031년까지 반도체 전문인력을 15만명 이상 육성하고, 내년 반도체 특성화대학원을 신규 지정해 교수 인건비와 기자재, R&D 등을 집중 지원한다. 비전공 학생에 대한 반도체 복수전공·부전공 과정(2년)인 반도체 브레인 트랙도 올해부터 30개교에서 운영한다.
산업계도 반도체 양성 기관인 '반도체 아카데미'를 설립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반도체 아카데미에서 대학생·취업 준비생·신입·경력직원 등 대상별 맞춤 교육을 실시해 5년간 3600명 이상 현장 인력을 키워낼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기업이 해외 반도체 우수인력 유치 시 제공하는 소득세 50% 감면혜택 기간을 현행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육성을 위한 R&D 집중지원에도 투자한다. 이를 통해 전 세계 시스템반도체 시장점유율 3%에 머물렀던 우리나라를 2030년까지 10%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단 구상이다.
오는 2024년부터 2030년까지 전력반도체에 4500억원, 차량용 반도체 5000억원 규모 예비타당성 사업을 추진하고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에 2029년까지 1조2500억원을 지원한다.
또 국내 반도체 설계 전문 업체(팹리스) 30곳을 '스타 팹리스'로 선정해 기술개발, 시제품 제작, 해외 판로 확대 등에 1조5000억원을 투입한다.
소재·부품·장비 자립화율을 현재 30%에서 2030년 50% 수준으로 높이는 목표도 수립했다. 정부는 현재 소부장 R&D 중 9% 수준인 시장선도형 기술개발 비중을 내년부터 20%로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이밖에 민관 합동 3000억원 규모 반도체 생태계 펀드를 조성해 내년부터 소부장 기업 혁신, 팹리스 인수합병(M&A) 등에 투자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프렌즈쇼어링'에 셈법 복잡해진 K반도체와 K배터리
- 과기정통부, 반도체·나노 공정 AI·데이터 기반 디지털화...5년간 270억 투입
- 과기정통부, 새정부 5대 핵심과제 발표…민관협력 기반으로 기술 및 디지털혁신
- 미 정부, 한국에 '칩4 동맹' 동참 여부 8월 말까지 답변 요청
- 산업부, 반도체 등 첨단·주력 산업 전방위 지원…투자 활성화 노린다
- [이완식 칼럼] 공급망 전쟁 이기려면 '실리 외교'가 답이다
- 삼성전자, 갤럭시 북 아트 프로젝트 진행
- 삼성전자, 3나노 파운드리 양산 출하식 열어
- SK하이닉스, 2분기 매출 13조8110억…분기 최대
- SK하이닉스 "하반기 메모리 둔화…내년 설비투자 조정 불가피"
- SK하이닉스, DDR5 D램 기반 첫 CXL 메모리 샘플 개발
- 대통령실, 신임 홍보수석에 김은혜·정책기획수석엔 이관섭
- 반도체 중소·중견기업, 인력난에 대기업 쏠림 '이중고'
- 여주시-SK하이닉스 취수 갈등 해결…용인 클러스터 착공 탄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