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초대 국가정보원장인 김규현 원장이 지난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 초대 국가정보원장인 김규현 원장이 지난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윤석열 정부의 첫 국가정보원장인 김규현 원장이 지난 27일 취임하면서 국정원의 사이버안보 전략 변화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윤석열 정부 안보 라인에 외교 전문가들이 포진한 만큼 미국 등과 사이버안보에 대한 공조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7일 외교안보 전문가로 알려진 김규현 국정원장이 취임했다. 김 원장은 취임사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앞서 문재인 정부 시절 박지원 전 국정원장은 사이버안보에 특별히 신경을 쓴 것으로 알려졌다. 박지원 전 원장 시기 국정원은 폐쇄적인 사이버보안 활동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유관 기관, 기업 등과 협력에 나섰다. 또 별도의 국가사이버안보센터 홈페이지를 구축하며 사이버보안에 대한 홍보도 적극 추진했다.

지난해 연말에는 당시 여당이었던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의원이 수면 아래 있는 사이버안보 컨트롤타워 논의에 다시 불을 붙이고 컨트롤타워를 국정원이 담당하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이는 국정원에서 수년 간 추진해왔던 사안이다.

정권이 바뀌고 국정원장 역시 바뀌었지만 사이버안보를 중요하게 보는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윤석열 정부가 발표한 110대 국정과제 중 101번째 과제가 국가 사이버안보 대응역량 강화다. 

윤석열 정부는 전통적 국가안보 영역에서 경제안보‧국민생활까지 확장 추세인 국가 배후조직 및 국제 해킹조직의 위협에 대응하는 사이버안보 패러다임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범정부 차원 협력체계 공고화하고 사이버방어 체계 및 국제공조 시스템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윤석열 정부는 경제안보와 디지털 플랫폼 정부 등을 화두로 던졌는데 이를 위해서는 사이버안보가 필수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김규현 국정원장도 지난 25일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우리나라는 북한의 위협뿐만 아니라 미중 전략적 갈등, 우크라이나 사태, 글로벌 공급망 위기, 사이버위협 등 국정원이 대항해야 할 도전들에 직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사이버위협을 국정원의 주요 과제로 본다는 것이다.

국정원의 사이버안보 전략의 세부 방향성은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미국 등 해외와 공조를 강화하는 방향이다.

14회 외무고시 출신인 김 원장은 외교통상부 북미1과 과장, 주미 대사관 정무공사, 외교부 제1차관 등을 역임한 외교통이다. 김 원장과 긴밀히 협력하게 되는 김성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도 외교안보연구원 미주연구부장, 미주연구부 교수, 외교통상부 제2차관,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등으로 근무한 외교통이다. 또 사이버안보 기본법을 대표 발의한 조태용 의원(국민의회)은 주미 대사로 내정된 상태다.

여기에 지난 21일 한미 정상회담 후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사이버위협 공동 대응을 언급했다. 두 정상은 공동 성명에서 “한국과 미국은 국가 배후의 사이버공격 등을 포함해 북한으로부터의 다양한 사이버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을 대폭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김규현 원장은 미국, 유럽 등과 긴밀한 사이버안보 공조 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김 원장이 이스라엘 모사드를 예로 들며 해외 정보 대응 역량 강화를 언급한 만큼 사이버안보 국제 공조도 같은 맥락에서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원장이 롤 모델로 제시한 모사드가 자체적인 해킹, 사이버보안 역량이 탁월한 만큼 이를 벤치마킹할 가능성도 있다.

다만 국정원이 계속 바래왔던 사이버안보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윤석열 정부는 110대 국정과제에서 대통령 직속 국가사이버안보위원회 설치 및 컨트롤타워 운영을 제시했다. 또 윤석열 정부는 유관기관, 민관합동 사이버위협 대응을 강조하고 있다. 사이버안보 국정과제 담당부처도 국정원, 국방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외교부를 함께 명시한 바 있다.

영상=디지털투데이 디퍼뉴스 데일리픽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