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5G 특화망(이음 5G)에 사용될 기지국과 무선 모듈에 대해 방송통신기자재 등의 적합성 인증서를 신규 발급했다고 1일 밝혔다.
이음5G는 5G 융합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업자가 직접 5G 주파수를 공급받아 특정구역에 구축해 활용하는 통신망이다. 이통3사 외에도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4.7㎓ 대역과 28㎓ 대역의 이음5G 망을 직접 활용해 5G 융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번에 이음 5G용 장비·모듈에 대한 전파인증이 발급됨에 따라 이음5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본격적인 토대가 마련됐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전파인증은 전파의 혼간섭 방지와 전자파로부터의 전자기기와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관련 전자제품을 제조·판매·수입하는 자가 해당 제품을 판매하기 전에 전파법에 따른 기술기준에 적합함을 증명하는 제도다. 이번 인증서 발급은 이음 5G 생태계 활성화 노력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것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이음 5G 사업자인 네이버클라우드와 LG CNC에 대해 주파수를 할당하고 기간통신사업으로 등록을 완료했다. 특히 올해는 수요 기업 요청에 따라 이음5G 실증사업을 확대해 기지국과 무선 모듈 등의 조기 출시를 추진하고 부품·장비, 솔루션, 망 구축 기업간 협력을 연계하는 등 이음5G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국립전파연구원이 이음5G와 관련된 전파인증을 발급한 제품은 총 6개로, 28㎓ 대역 등을 이용한 실내·외용 기지국과 무선 모듈 등이 있다.
정삼영 국립전파연구원 전파시험인증센터 센터장은 “이번 전파인증을 시작으로 인공지능(AI), 가상·증강현실(VR·AR)의 다양한 제품이 차질없이 개발·공급돼 이음5G 융합서비스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KT 통신장애 관련 통신재난관리기본계획 변경안 의결
- 과기정통부, 정부·공공기관 대상 국산 연구장비 홍보 세미나 개최
- 과기정통부, ICT 산업 중장기 대응 전략 마련 착수
- 과기정통부, 美 'NAB 쇼'서 차세대 방송 ATSC 3.0 시연
- 과기정통부 우정사업본부, 국가기관 첫 마이데이터 사업 참여
- [단독] 5G 주파수 추가 경매, SKT·KT·LGU+ 모두 정부에 의견 제출
- "부가통신·플랫폼 한눈에"...디지털 플랫폼 유형별 정책 연구
- 이통 3사, 어린이날 100주년 기념 기부 캠페인
- 국내 부가통신 서비스 매출 199조...디지털 플랫폼 비중 절반
- SK네트웍스서비스, 창원공장에 5G 특화망 운영...물류 자동화
- 민·관 5G 특화망 키운다…8월 말 5G 얼라이언스 출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