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모인 디스플레이 발전전략 협의체 모습 [사진: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26일 모인 디스플레이 발전전략 협의체 모습 [사진: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디지털투데이 고성현 기자]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업계가 중국 등 경쟁국의 추격을 막고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려면 인력 양성·세제 혜택 등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26일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디스플레이 발전전략 협의체'를 개최했다.

디스플레이 발전전략 협의체는 LG디스플레이·삼성디스플레이·주성엔지니어링·덕산네오룩스 등 디스플레이 전문 업계와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학계·연구계 10명으로 구성됐다.

이날 협의체는 최근 급변하는 대내외 산업환경을 점검하고 디스플레이 산업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먼저 박진한 옴디아 이사가 글로벌 여건 변화 및 디스플레이 시장 전망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으며, 이후 참석자간 자유토론을 통해 디스플레이 업계 애로사항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발전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업계는 디스플레이 산업경쟁력 확대를 위해서는 국가첨단전략산업 특별법에 디스플레이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하며, 튼튼한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핵심 소재, 장비 국산화 및 정부 기술개발과 세제지원 확대 등을 요청했다.

학계에서는 최근 특정 산업에 대한 인력 쏠림 현상을 지적하며 핵심 인력 양성에 대한 지원 확대와 포스트 OLED에 대한 정부의 기술개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연구계는 디스플레이가 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이 되는 점을 고려해 미래 디스플레이 준비를 위한 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장기적 지원이 필요함을 언급했다.

이동욱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부회장은 “경쟁국의 추격이 거센 상황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가진 우리 기업이 앞선 기술에 대한 사업화를 통해 경쟁국과의 격차를 확대시킬 수 있다”며 “민간 부문의 투자 활성화를 위한 세제지원 확대와 연구개발을 위한 고급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협의체를 통해 디스플레이 발전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교두보가 마련된 만큼, 협회는 산‧학‧연 의견이 정부 정책에 반영 될 수 있도록 정부와 소통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