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윤종 경제2분과 인수위원이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공동기자회견장에서 모빌리티 분야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왕윤종 경제2분과 인수위원이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공동기자회견장에서 모빌리티 분야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디지털투데이 정유림 기자] 다음달 출범하는 새 정부가 전기·수소차, 자율주행차, 도심항공교통(UAM) 등 미래 모빌리티(운송수단) 육성을 국정과제로 삼고 산업 생태계와 인프라 구축을 지원한단 방침이다.

왕윤종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2분과 인수위원은 25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실현하는 핵심 축으로서 모빌리티를 미래 핵심 성장 동력으로 키울 것"이라며 이같이 발표했다.

새 정부는 2022년 조건부 자율주행(레벨3), 2027년 완전자율주행(레벨4)을 상용화한다는 목표다. '하늘을 나는 택시'로 일컬어지는 UAM 역시 2025년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왕 인수위원은 "모빌리티 육성은 윤석열 정부가 지향하는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실생활에서 구현하는 전략의 핵심 축"이라며 "이동 정보와 공간 정보 빅데이터를 통합 관리해 민간과 공유하고 관련 산업 생태계와 인프라 구축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선 전기·수소차 등 미래차로의 부품 생태계 전환과 핵심 부품·소재 기술 자립화를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수소(상용)차 보급 확대를 위해 구매 목표제를 통해 수요를 확대하고 충전소도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미래차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맞춤형 인증·검사·정비 체계를 구축한다. 이밖에 운수 사업자에 대한 연료 보조금, 부제·대폐차 등 인센티브 지원을 강화한다.

2022년 조건부 자율주행(레벨3), 2027년 완전자율주행(레벨4) 상용화를 목표로 민간 핵심 기술 개발·실증을 지원하고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 및 정밀 도로지도 등 첨단 인프라를 구축키로 했다. 자율주행차 안전 기준, 보험 제도, 보안 시스템과 관련한 법·제도도 선제적으로 완비한단 방침이다.

2025년 UAM 상용화도 중점 추진한다. 이를 위해 UAM 실증과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민·군 겸용 기체(AAV) 등 핵심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UAM 이착륙장(버티포트), 수도권 시범공역, 관제 시스템 등 인프라도 구축할 예정이다.

민간에서 모빌리티 서비스(MaaS)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교통물류 빅데이터 공개를 확대하고 데이터 확보·분석·거래를 위한 디지털 전환 기반을 구축한다.

전동 킥보드 등 개인 모빌리티(PM) 활성화를 위한 안전 기준을 마련하고 부품 국산화를 추진한다.

인수위는 "모빌리티 혁명의 관점에서 법령 체계, 산업 구조, 인프라, 도시·주택 등 관련된 모든 분야를 재편해 나갈 것"이라며 "국민이 획기적인 모빌리티 서비스를 체감하고 청년이 선호하는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도록 대전환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