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OTT) 서비스 웨이브(wavve)는 컨소시엄을 통해 '구어체 방송 콘텐츠를 위한 자동 자막 제작·편집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사진: 콘텐츠웨이브]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OTT) 서비스 웨이브(wavve)는 컨소시엄을 통해 '구어체 방송 콘텐츠를 위한 자동 자막 제작·편집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사진: 콘텐츠웨이브]

[디지털투데이 정유림 기자]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OTT) 서비스 웨이브(wavve)는 컨소시엄을 통해 '구어체 방송 콘텐츠를 위한 자동 자막 제작·편집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이 사업을 통해 번역 및 자막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시간을 단축, 언어 장벽을 낮춰 글로벌 미디어 사업을 지원한단 목표다.

컨소시엄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방송기술개발사업에 선정, 오는 2024년까지 진행되는 기술개발 프로젝트에 돌입한다.

웨이브를 비롯해 주관사인 인공지능(AI) 전문 기업 트위그팜, SBS, 기계 번역 전문 기업 시스트란, 미디어 현지화 전문 기업 푸르모디티 등 5개 기업이 컨소시엄에 참여한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콘텐츠 현지화 비용은 분당 11달러(약 1만3500원)에 달한다. 기계 번역을 이용할 경우 여러 명이 대화에 참여하는 다자발화나 구어적 맥락 반영이 어려워 자막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드라마, 예능, 교양 등 장르별 특성에 따라 번역 패턴이 달라야 한다는 점도 과제다.

이에 컨소시엄은 현지화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콘텐츠 전용 한국어 음성인식기, 장르별 문맥 기반 기계 번역기, 클라우드 자막 편집 도구 등 다양한 서비스 모델과 도구를 개발할 계획이다.

컨소시엄은 2023년까지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2024년까지 플랫폼 확장에 집중, 서비스 고도화에 나선단 전략이다.

김태형 콘텐츠웨이브 미디어데이터개발 그룹장은 "우리 콘텐츠를 세계 시장에 빠르게 선보일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 효율적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