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이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등과 사이버보안 관련 정보 공유에 나섰다. [사진: 4대 거래소 로고]](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204/440431_422498_740.jpg)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국가정보원이 가상자산(암호화폐)을 노린 국제 및 국가배후 해킹조직의 사이버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 대형 가상자산 거래소들과 협력에 나섰다.
국정원은 국내외 주요 사이버 위협정보를 제공하는 등 정보공유 서비스를 가상자산 거래소로 확대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국정원은 최근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4곳(업비트, 빗썸, 코빗, 코인원)을 국정원의 ‘인터넷 기반 사이버위협정보공유시스템’(KCTI)과 연동하고 해킹 공격 인터넷주소(IP), 악성코드 등을 실시간 공유 중이다.
KCTI는 국정원이 국가·공공기관 300여곳을 대상으로 실시간, 24시간 운용 중인 국가사이버위협정보공유시스템(NCTI) 상의 정보들을 민간 기업에 별도로 제공, 공유하기 위해 2020년 개발한 시스템이다.
이번 조치로 이들 가상자산 거래소는 NCTI에 축적, 수집되는 주요 사이버 위협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국정원은 향후 가상자산 관련 해킹 공격 수법, 최신 악성코드 등 관련 전문 정보도 적극 제공, 공유할 계획이다.
국정원의 민간기업 대상 사이버위협정보 공유 서비스는 2020년 10월 국내 13개 핵심 방산업체를 시작으로 현재 방산업체 43개, 첨단기술 보유 기업 35개, 제약 및 바이오 기업 7개, 에너지 관련 기업 17개, 기타(정보보안 업체, 가상자산거래소) 기업 10개 등 총 112개이다. 공유되는 위협정보 건수도 2020년 4만여건에서 현재 13만여건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국정원 관계자는 “최근 해킹 공격은 민간과 공공을 구분하지 않고 이루어 지는 등 사이버 안보가 국가안보와 직결되고 있다”며 “가상자산 거래소는 물론 민간기업과 사이버위협정보 공유를 적극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경찰청, 가상자산 추적전문가 양성 나선다
- 옥타 "해킹그룹 랩서스 공격으로 최대 366개 고객들 영향 받았을 수도"
- 클라우드 기반 ID 보안 업체 옥타도 해킹그룹 랩서스에 당했다?
- 대선 무사히 넘겼지만...사이버 위협 고조에 어수선
- 국정원, 공공분야 사이버위기 ‘주의’ 경보 발령
- [블록체인핫이슈] 법인 코인 거래 열리나...NFT에 빠진 글로벌 기업들
- 코인원·코빗 지난해 매출 퀀텀점프...코인 자산도 대거 처분
- 국정원, 나토 사이버방위센터 주관 ‘락드쉴즈 2022’ 참가
- 코빗, 메이커 주문 대상 거래금액 일부 돌려준다
- 코인원, 이달 유선상담 콜백 시스템 도입..."고객 소통 강화"
- 尹정부 사이버안보 정책은?...국제 공조 강화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