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이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등과 사이버보안 관련 정보 공유에 나섰다. [사진: 4대 거래소 로고]
국정원이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등과 사이버보안 관련 정보 공유에 나섰다. [사진: 4대 거래소 로고]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국가정보원이 가상자산(암호화폐)을 노린 국제 및 국가배후 해킹조직의 사이버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 대형 가상자산 거래소들과 협력에 나섰다.

국정원은 국내외 주요 사이버 위협정보를 제공하는 등 정보공유 서비스를 가상자산 거래소로 확대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국정원은 최근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4곳(업비트, 빗썸, 코빗, 코인원)을 국정원의 ‘인터넷 기반 사이버위협정보공유시스템’(KCTI)과 연동하고 해킹 공격 인터넷주소(IP), 악성코드 등을 실시간 공유 중이다.

KCTI는 국정원이 국가·공공기관 300여곳을 대상으로 실시간, 24시간 운용 중인 국가사이버위협정보공유시스템(NCTI) 상의 정보들을 민간 기업에 별도로 제공, 공유하기 위해 2020년 개발한 시스템이다.

이번 조치로 이들 가상자산 거래소는 NCTI에 축적, 수집되는 주요 사이버 위협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국정원은 향후 가상자산 관련 해킹 공격 수법, 최신 악성코드 등 관련 전문 정보도 적극 제공, 공유할 계획이다.

국정원의 민간기업 대상 사이버위협정보 공유 서비스는 2020년 10월 국내 13개 핵심 방산업체를 시작으로 현재 방산업체 43개, 첨단기술 보유 기업 35개, 제약 및 바이오 기업 7개, 에너지 관련 기업 17개, 기타(정보보안 업체, 가상자산거래소) 기업 10개 등 총 112개이다. 공유되는 위협정보 건수도 2020년 4만여건에서 현재 13만여건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국정원 관계자는 “최근 해킹 공격은 민간과 공공을 구분하지 않고 이루어 지는 등 사이버 안보가 국가안보와 직결되고 있다”며 “가상자산 거래소는 물론 민간기업과 사이버위협정보 공유를 적극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