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상황에서 가상자산이 자금 지원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사진: 셔터스톡]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상황에서 가상자산이 자금 지원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문정은 기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상황에서 가상자산(암호화폐)이 자금지원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 우크라이나 정부는 전 세계에서 모인 가상자산으로 적시에 군대를 지원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가상자산이 러시아의 경제 제재 회피책으로 활용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관련 규제 내용을 담은 행정명령에 공식 서명했다.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정부는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전쟁 수행 자금 모금을 위해 가상자산 지갑 주소를 공개했다. 초기에는 비트코인 모금용, 이더리움 및 테더 모금용 주소가 게시됐고 이후 폴카탓용 주소도 추가 게시했다. 

이후 지난 2일 미하일로 페도로프 우크라이나 부총리는 가상자산 커뮤니티에서 지원이 계속되고 있음을 전하며 솔라나와 도지 모금용 주소도 게시했다. 

7일 기준 블록체인 분석 회사인 엘립틱에 따르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기부된 가상자산은 12만건, 액수로는 총 5970만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는 폴카닷 설립자인 개빈 우드의 단일 기부금 580만달러도 포함이다. 

특히 NFT(대체불가토큰), DAO(탈중앙화 자율조직)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가상자산 기부금이 모아진 점이 눈에 띈다. 

엘립틱에 따르면 약 186만달러의 기부는 지난달 9일 디지털 아티스트 팍(Pak)이 위키리크스 설립자 줄리안 어산지 석방을 위해 NFT를 발행하고 판매한 대금에서 이뤄졌다. 20만달러 가치로 알려진 크립토펑크 NFT(#5364)가 우크라이나 정부의 이더리움 계정에 송금되기도 했다. 

DAO를 구성해 기금 모금에 나선 이들도 있다. DAO는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누구라도 특정 요건을 충족하면 조직에 참여할 수 있으며, 조직 의사 결정이 미리 약속된 규칙인 스마트컨트랙트로 진행되는 형태다. 

NFT 수집 플랫폼 플레저다오(PleasrDAO), 디지털아트 스튜디오 트리피 랩스(Trippy Labs) 등이 모여 이더리움으로 자금을 모아 우크라이나 군대를 지원하는 비정부기구(NGO) 컴백얼라이브(Come Back Alive)에 기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DAO를 설립했다. 우크라이나 국기를 담은 NFT를 650만달러에 경매를 부쳤고, 이 수익금을 컴백얼라이브에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정부에 기부된 가상자산 규모가 총 5970만달러에 달한다. [사진: 엘립틱] 
우크라이나 정부에 기부된 가상자산 규모가 총 5970만달러에 달한다. [사진: 엘립틱] 

우크라이나 정부는 이렇게 모인 가상자산을 통해 지체없이 군대를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알렉스 보노야코프 우크라이나 디지털부 차관은 8일(현지시간) 야후 파이낸스 인터뷰에서 전시 상황에서는 재빠른 대응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가상자산을 이용하면 기존 은행 시스템을 거쳐야하는 것보다 빠르게 군대 지원을 위한 물품 구매 등이 가능하다고 했다. 거래수단으로 가상자산을 수용하는 곳이라면 바로 거래하고, 그렇지 않은 곳이라면 거래소를 거친다고 덧붙였다. 

이를 통해 가상자산 특징이 부격되면서 가상자산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고 시장 전문가는 진단하고 있다. 가상자산 정보 플랫폼 쟁글의 다이제스트 리포터는 우크라이나에게 가상자산 기부 행렬이 이어지는 배경으로 초국경적, 초정부적인 기능을 지닌 가상자산 특징을 언급했다. 

또 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우크라이나 정부가 가상자산 지갑주소를 공개하면서 지원을 요청하고 있는 것은 엘살바도르에 이어 국가가 비트코인을 인정한 또다른 사례"라며 "모금활동과 국가의 지갑 공개를 통해 가상자산을 인정하는 국가가 늘어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진단했다. 

다만 가상자산이 러시아가 경제 제재를 회피하는 탈출구로 활용될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그에 따른 규제 필요성에 대한 요구도 커지는 상황이다. 실제로 앞서 파월 의장은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 출석해 대러시아 제재 방안의 실효성을 묻는 의원의 질문에 대해 "가상자산이 러시아 경제 제재의 우회로로 활용될 수 있다. 그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9일(현지시간) 백악관 홈페이지에 공개된 행정명령 관련 팩트시트에 따르면 6가지 우선 순위에 소비자와 투자자 보호, 금융 안정성, 불법 금융, 미국의 리더십, 금융 포용, 책임감 있는 혁신 등이 포함됐다. 

관련해 유럽연합(EU)도 대응에 나서고 있다. 앞서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의 재정경제부 장관은 EU 경제·재무장관 비공식 회의를 거친 후 기자회견을 통해 "러시아 중앙은행의 자산 동결을 위해 이미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면서 "EU의 27개 회원국이 스위프트(SWIFT) 제한 외 가상자산이나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제재를 가하는 등 추가 제재 조치의 필요성에 모두 공감했다"고 밝힌 바 있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