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사진: 셔터스톡]
비트코인 [사진: 셔터스톡]

[디지털투데이 문정은 기자] 국내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들이 러시아 인터넷주소(IP) 접속 차단 등 러시아 제재에 동참하고 있다. 

앞서 우크라이나 정부는 러시아가 국제 금융제재를 우회하는 수단으로 가상자산을 적극 활용할 가능성이 제기된다며, 바이낸스를 비롯 글로벌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에 러시아 이용자의 계좌 동결을 요청한 바 있다. 

2일 고팍스는 해외재산관리국(OFAC) 및 유럽연합(EU) 제재에 따라 러시아 IP에 대한 접속 차단 및 러시아 국적 고객의 모든 계정에 대한 동결 조치 등을 완료했다고 공지했다. 그러면서 추가적인 제한 조치가 진행될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빗썸도 3일 정오 무렵부터 러시아 IP 접속을 차단했다. 아울러 회사는 화이트리스트 시행에 따라 거래소 위험평가를 통해 허용된 가상자산 거래소에만 출금 주소로 등록이 가능한데, 이날 기준 러시아 기반 거래소는 없다고도 설명했다. 

코빗도 3일부터 러시아 IP 접속을 차단하고 러시아 국정 계정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했다. 

코인원은 러시아 국적 회원은 없지만 지난달 말부터 IP 차단 및 러시아 국적자의 가입을 제한해왔다. 코인원 관계자는 "이전부터 자금세탁 리스크가 큰 곳들은 선제적으로 대응해왔기에 별도의 공지는 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업비트에도 현재 러시아 국적 회원이 없다. 앞서 지난해 11월 업비트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위험국가 리스트 등을 참고해 자금세탁방지와 테러자금조달을 막기 위해 러시아 국적자의 가입을 제한해 왔다.

다만 해외 거래소들의 입장은 이와 다소 다르다.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바이낸스는 "제재를 받은 러시아 개개인에 대해서는 계좌를 동결하지만, 모든 러시아 사용자들의 계정을 일방적으로 동결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가상자산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경제적 자유를 부여한다는 의미가 있는데, 가상자산 접근을 일방적으로 금지하는 것은 이와 반하는 것이라고도 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가상자산이 러시아가 경제 제재를 회피하는 탈출구로 활용될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그에 따른 규제 필요성에 대한 요구도 커지는 상황이다.

2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 출석해 대러시아 제재 방안의 실효성을 묻는 의원의 질문에 대해 "가상자산이 러시아 경제 제재의 우회로로 활용될 수 있다. 그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관련해 유럽연합(EU)도 대응에 나서고 있다.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의 재정경제부 장관은 이날 EU 경제·재무장관 비공식 회의를 거친 후 기자회견을 통해 "러시아 중앙은행의 자산 동결을 위해 이미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면서 "EU의 27개 회원국이 스위프트(SWIFT) 제한 외 가상자산이나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제재를 가하는 등 추가 제재 조치의 필요성에 모두 공감했다"고 밝혔다.

 

△디지털투데이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