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가 중저신용 고객 신용대출을 누적 1조원 공급했다. [사진: 케이뱅크]](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202/435642_420025_5144.jpg)
[디지털투데이 문정은 기자] 케이뱅크가 작년부터 올해 2월까지 공급한 중저신용(KCB 820점 이하) 고객 신용대출 규모가 1조원에 달한다고 25일 밝혔다. 지난 한 해에만 7510억원을 취급했으며, 올해 두 달간 약 2500억원을 공급하며 누적 1조원을 달성했다.
회사에 따르면 지난해 공급한 중저신용 고객 신용대출 규모(7510억원)는 2010년 공급액인 3251억원 대비 약 2.3배 증가한 수준이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부터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하반기에만 직전연도(2020년) 한 해 동안 공급한 총액(3251억원)의 약 1.5배에 달하는 4942억원을 공급했다. 이는 케이뱅크가 하반기부터 중저신용 고객 혜택을 대폭 강화한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케이뱅크는 작년 9월부터 연말까지 중저신용 고객 대상 대출이자 지원 이벤트를 진행했다. 케이뱅크의 신용대출 상품을 이용하는 중저신용 고객에게 대출이자를 돌려줬다.
11월부터는 '대출안심플랜'을 무료로 제공했다. 대출안심플랜은 대출 받은 중저신용 고객이 중대 사고 등으로 대출 상환이 불가능한 상황에 처할 경우 이를 해결해주는 서비스다. 관련 비용은 케이뱅크가 100% 부담한다.
케이뱅크는 올해에도 대출이자 지원과 대출안심플랜을 제공하며 중저신용 고객 신용대출 공급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은 지속적인 상승세에 있으며, 2월 현재 18%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달 중순부터는 중저신용·금융정보 부족(씬파일러) 고객 특화 신용평가모형(CSS)을 새로 개발해 적용했다. 신규 CSS 도입으로 중저신용 고객군의 대출 승인율이 기본 모형 대비 약 18.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저신용 고객 대출공급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차별화된 혜택에 더해 중저신용 씬파일러 고객에게 특화된 CSS를 도입하는 등 금융소외 계층 대출 확대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카카오뱅크, 지난해 중저신용자 대출 1조7166억원
- 토스뱅크, 출범 4개월 만에 3000억 유상증자
- 케이뱅크, 중저신용 특화 신용평가모델 개발..."통신·쇼핑 정보 활용"
- 카카오뱅크, 지난해 순이익 2041억원...전년比 79.7% 증가
- 케이뱅크, 지난해 순이익 224억...첫 연간 흑자 달성
- 핀크 "대출비교 서비스 중저신용자 비중 54%"
- 케이뱅크, 신용대출 한도 최대 2억5000만원으로 확대
- 카카오뱅크, 내년에도 고신용자 신규 신용대출 재개 안한다
- 케이뱅크,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금리 인하
- 인터넷은행 중금리대출 목표 달성 비상...비중 끌어올리기 안간힘
- 케이뱅크 '챌린지박스' 10만좌 돌파…최고금리 연 2.5%로 인상
- 케이뱅크, 주요 대출 상품 금리 인하...최대 연 0.3%p↓
- 케이뱅크, 5000억 한도 연 2.5% 예금 특판
- 케이뱅크도 개인사업자 대출 내놓는다...신보중앙회와 맞손
- 케이뱅크, 전세대출 출시 6개월 만에 6000억 돌파
- 케이뱅크, NH투자증권 계좌 개설시 케뱅 비상장 주식 증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