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202/434761_419274_2757.jpg)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금융감독원이 ‘불법금융행위 예방을 위한 범금융권 공동 홍보’ 행정지도를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2016년 이후 6번째 행정지도가 연장되면서 사실상 불법금융 대응 공동 홍보가 상시화됐다는 분석이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이 최근 불법금융행위 예방을 위한 범금융권 공동 홍보’ 행정지도를 연장한다고 예고했다.
금감원은 18일까지 행정지도 연장에 관한 의견을 수렴한 후 큰 이견이 없을 경우 그대로 연장할 방침이다.
이 행정지도는 말 그대로 금융회사들이 공동으로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등에 위험성을 홍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 2016년 금감원은 금융사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무엇보다 피해예방을 위한 대국민 상시적, 집중적 홍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불법금융에 대한 개별 금융회사의 홍보 보다는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며 금융사기 근절을 위한 범금융권 홍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행정지도를 통해 금융권에 협조를 요청했다.
그러나 금융사기, 보이스피싱 등이 계속 기승을 부렸고 매년 행정지도가 연장돼 왔다. 금감원은 행정지도 연장 예고문에서 “다수 국민을 불안하게 하는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는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고 수법도 갈수록 교묘화, 지능화 되어가는 실정”이라고 연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올해 1월 20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경찰청, 한국인터넷진흥원 등은 설 연휴 택배, 코로나19 손실보상금 등을 가장한 스미싱 공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주의를 당부한 바 있다. 정부에 따르면 2021년에만 20만22276건의 스미싱 공격이 신고됐다.
또 2월 13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설 명절 이후 보이스피싱 공격이 증가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재차 경고했다. 불법금융 사기 피해가 계속 우려되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들은 불법금융 범금융권 공동 홍보가 사실상 상시화되고 있다고 해석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이 지능화되고 있고 피해 역시 계속 발생하고 있다”며 “때문에 대국민 피해예방 홍보는 더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사이버범죄·금융사기 주의보...설 연휴 앞두고 기승 우려
- 금융권이 범죄 대응에 팔 걷어붙인 까닭은
- 가상자상 거래소 사칭 금융사기 기승...한달에 한번꼴 주의보
- 청년 노리는 신종 보이스피싱 기승..."소액대출 미끼 선불유심 요구 후 범죄 활용"
- 대포통장 개설 재확산...석달새 6000건 적발
- 소액 대출 받으려다 보이스피싱 연루?...1020 겨냥 범죄 활개
- 금융정보분석원, 대부업 등에 자금세탁방지 집중 교육
- 보이스피싱 유튜브 콘텐츠 느는 건 좋은데...희화화 우려
- 금감원, 180개 회계심사...회계분식 고위험 회사 감독 강화
- 우크라 사태 악용 금융사기 주의보...송금 유도 이메일 확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