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로고 [사진: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 로고 [사진: 산업통상자원부]

[디지털투데이 고성현 기자] 정부가 최근 불안한 정세를 보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대응에 나섰다. 이번 사태가 당장 실물경제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사태가 길어지거나 악화될 경우 에너지 공급망과 수출, 금융 등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박진규 제1차관 주재로 '제19차 산업자원안보 TF'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1월말 개최된 제18차 회의 이후 전개된 상황을 업계와 재점검하고 구체적인 대응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지난 회의와 마찬가지로 현재까지 실물경제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의견을 내놨다. 다만 사태가 장기화되거나 악화되면 러시아 수출·금융 제재, 산업 및 에너지 공급망 교란 등 핵심 위험에 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자동차업계는 전체 자동차 수출 중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차지 비중이 높지 않지만, 사태 악화 시 현지 진출기업 채산성 악화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조선업계는 미국이 시행하는 금융제재가 자금결제 중단으로 확대되면 러시아서 수주한 프로젝트 추진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에너지 공기업은 러-우크라이나 갈등 심화시 유럽발 에너지 가격 및 수급 불안정 우려가 커져 원유·LNG가격 상승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원유 등 가격이 오르면 연료비 연동으로 인한 국내 전기와 가스요금 인상도 불가피해진다.

이에 산업부는 산업계와 상시적 정보 공유와 선제적 대응으로 수출, 현지기업 경영 등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수급차질 가능성에 대비해 의존도가 높은 일부 품목 중심 국내 공급 가능성을 검토하고 재고 확대를 준비한다. 또 글로벌 공급망 분석센터 등 기관을 활용해 공급망 안정에 힘을 쏟는다.

에너지 수급은 가스와 원유, 유연탄 등 에너지원별 물량을 사전확보하고 수급 차질 발생 시 대체물량 도입 등으로 적기에 조치할 계획이다. 또 국가 유가 모니터링을 진행하면서 4월말 종료 예정인 유류세 인하 연장 등을 관계 부처와 검토할 예정이다.

박진규 산업부 차관은 “러-우크라이나 사태는 상황이 가변적으로 예측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며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업계와 함께 철저히 대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