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카카오뱅크]](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202/433955_418815_3821.jpg)
[디지털투데이 문정은 기자] 카카오뱅크가 지난해 204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전년보다 79.7%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 연간 영업수익은 전년대비 32.4% 늘어난 1조 649억원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09.6% 증가한 2569억원을 기록했다.
회사는 여신 성장에 따른 이자 이익 확대와 플랫폼·수수료 비즈니스 성장에 따라 수익성이 강화됐다고 진단했다.
카카오뱅크에 따르면 여신 잔액은 25조 8614억원으로, 연간 5조 5481억원 늘었다. 회사는 전월세보증금 대출과 중저신용자 고객 대상 대출이 성장을 견인했다고 봤다.
전월세보증금 대출 잔액은 청년전월세대출 증가로 인해 4조 6587억원 늘었다. 중저신용 고객 대출 잔액은 2조 4643억원을 기록했다.
수신 잔액은 지난해 말 대비 6조 4869억원 늘어난 30조 261억원이며, 저원가성 예금이 58.3%였다.
지난해 말 기준 연체율은 0.22%, 순이자마진(NIM)은 1.98%였다. 자기자본비율(BIS)은 35.65%였다.
지난해 플랫폼 수익은 2020년 대비 86.8% 성장한 932억원, 수수료 수익은 13% 증가한 1686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영업수익에서 비이자부문 수익 비중을 25% 이상으로 유지됐다.
특히 플랫폼 부문에서는 주식 계좌 개설 서비스 개설 좌수와 제2금융권 연계대출 취급 실적이 2020년 말 누적 대비 각각 73%, 100% 성장했다.
지난 한 해 동안 카카오뱅크를 통해 고객들이 개설한 주식계좌수는 220만좌이며 서비스 출시 이후 누적으로는 520만좌(2021년말 기준)에 달했다. 연계대출 누적 실행 금액은 지난해 2조원 이상 늘어난 4조 1320억원을 기록했고, 제휴 신용카드 발급 실적은 누적 37만장으로 늘었다.
![카카오뱅크의 영업수익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사진: 카카오뱅크]](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202/433955_418816_3851.jpg)
아울러 카카오뱅크는 2030 세대 고객의 모바일 활동성이 확대되고 10대와 40대 이상의 고객 증가에 따른 모바일 트래픽이 늘어난 점도 주목했다.
지난해 말 기준 카카오뱅크 고객 수는 1799만명으로, 2020년 말 1544만명에서 1년 만에 255만명 증가했다.
신규 고객 증가는 40대 이상과 10대가 이끌었다. 지난해 신규 고객 중 40대 이상이 60%(신규 고객의 연령대별 비중: 40대 26%, 50대 23%, 60대 이상 11%)를 차지했다. 특히 휴면예금·보험금 찾기 서비스, 증권 계좌 개설 서비스, 모임통장 등이 40대 이상 고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
10대에서는 청소년 대상 금융 서비스 'mini'가 고객 증가를 견인했다. mini의 누적 가입자는 115만명으로, 출시 1년 2개월만에 해당 연령대 2명 중 1명이 사용하는 서비스가 됐다.
연령별 고객 기반 확장으로 카카오뱅크 앱 월간 활성 이용자수(MAU)는 2020년 말 1311만명에서 1523만명으로 상승했다.
이같은 성장에 힘입어 지난해 4분기 기준으로 영업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45.4% 증가한 3091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7.6% 증가한 520억원, 당기순이익은 30.2% 증가한 362억원으로 집계됐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1분기 중 카카오뱅크만의 모바일 완결성을 담은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출시하고 올해는 오픈뱅킹과 모임통장 관련 서비스 및 개인사업자 관련 금융상품 등도 확대할 계획"이라며 "다양한 서비스의 확장과 플랫폼 비즈니스 확대를 통해 고객들이 더 많이 더 자주 쓰는 은행으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인뱅도 기업대출·주담대 한다...금융상품 본격 확장
- 카카오뱅크 '월 최대 4만4000원' 캐시백 프로모션
- 카카오뱅크, 예·적금 금리 최고 0.3%p 인상
- '카카오뱅크 저금통' 성공 계좌수 100만좌 돌파
- 카카오뱅크, 오픈소스 국제 표준 인증 획득
- 카카오뱅크 '여신 포트폴리오 다양화' 최우선...주담대 이달 공개
- 카카오뱅크, 주담대 22일 출시...사전 이벤트 시작
- 인뱅 vs 시중은행, 비대면 개인사업자 대출 대전 승자는?
- 카카오뱅크, 주택담보대출 공개...챗봇으로 신청·조회·실행
- "5년내 비대면 주담대 대세된다...카뱅 차별화는 '챗봇'"
- 카카오뱅크, 지난해 중저신용자 대출 1조7166억원
- 케이뱅크, 중저신용 고객 신용대출 누적 1조원 공급
- 카카오뱅크, 중저신용 고객 대상 첫 달 이자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