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보안원은 최근 자체 탐지·수집한 보이스피싱 악성 앱 5000여개를 분석한 결과 악성 앱의 92%가 상위 3개 조직에 의해 유포되는 것을 확인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미지: 금융보안원]
금융보안원은 최근 자체 탐지·수집한 보이스피싱 악성 앱 5000여개를 분석한 결과 악성 앱의 92%가 상위 3개 조직에 의해 유포되는 것을 확인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미지: 금융보안원]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보이스피싱을 위한 악성 앱 유포가 몇몇 범죄 조직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보안원은 최근 자체 탐지·수집한 보이스피싱 악성 앱 5000여개를 분석한 결과 악성 앱의 92%가 상위 3개 조직에 의해 유포되는 것을 확인됐다고 27일 밝혔다.

금보원에 따르면 최근 악성 앱 기능은 더욱 지능화·고도화돼 피해자가 거는 전화를 ‘가로채기’ 하는 수법 뿐 아니라 피해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행동을 관찰할 수 있는 실시간 촬영·전송 기능, 보이스피싱 조직의 전화를 금융회사 등으로 위장할 수 있는 금융회사 전화 위장 기능 등이 추가되고 있다.

김철웅 금융보안원 원장은 “코로나19 영향으로 금융권의 비대면 서비스가 일상화되는 가운데, 스마트폰을 노린 사이버 공격이 증가해 모바일 금융보안이 한층 더 중요해 지고 있다”며 “최근 금융보안원은 조직개편을 통해 모바일보안팀을 신설하고 모바일 금융분야 대응 능력을 더욱 강화하는 등 금융고객의 안전한 이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보원은 이같은 분석 결과를 ‘보이스피싱 악성 앱 유포조직 프로파일링’ 보고서에 담아 발간했다. 보고서는 금보원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