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박종헌 기자] 정부가 올해 신약 및 개량의약품 개발 등 바이오 연구개발(R&D)에 2743억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신기술 기반의 디지털 전환과 차세대 바이오 핵심 기술개발 및 상용화 지원을 늘릴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분야 R&D에 작년보다 372억원(15.7%) 늘어난 2743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고 24일 밝혔다.

주요 사업을 보면 신약, 개량의약품 개발 등 바이오 핵심기술 사업화 지원 및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 예산을 대폭 확대했다.

‘국가신약개발’을 위한 예산을 지난해 150억원에서 올해 461억원으로 늘리고 ‘맞춤형 진단·치료제품’ 예산을 269억원에서 317억원으로 증액했다. 신규사업인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제품화 기술개발’에는 21억원을 배정했다.

코로나19로 주목받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등 최신 플랫폼 백신 개발에 필요한 원부자재 국산화와 대량 공정기술 개발에도 신규 예산이 편성됐다. ‘구조기반 백신설계기술 상용화 기술 개발’에 30억원, ‘백신 원부자재·생산 고도화 기술 개발’에 68억원이 각각 책정됐다.

의료데이터, 인공지능(AI) 등을 융합한 기술개발과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실증·사업화 지원 예산도 확대했다. AI·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기술개발을 위한 ‘디지털헬스케어’ 예산은 지난해 203억원에서 올해 323억원으로 120억원 늘어났다.

이와 함께 바이오 분야의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 100% 바이오매스 기반 바이오플라스틱 제조공정기술 개발 등에도 36억원의 예산을 신규 편성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