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201/431670_417414_2925.jpg)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해킹, 정보유출, 몸캠 피싱 등을 가장해 비트코인을 요구하는 협박 이메일이 무차별적으로 유포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17일 보안업계에 따르면 해킹을 통해 개인 사생활 정보와 영상을 갖고 있다며 비트코인을 요구하는 협박 이메일이 이달 6일, 7일, 8일, 12일 등 연이어 유포됐다. 가상자산 관련 사이트에도 협박에 사용된 비트코인 지갑 주소들이 신고되고 있다.
정확히 어느 정도 협박 이메일이 유포됐는지 알 수는 없지만 1월 초부터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이런 협박 메일을 받았다는 글들이 게재되고 있다. 일부 게시물들은 조회수가 수천건에 달할 만큼 관심을 받고 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협박범들은 이메일에서 PC를 악성코드에 감염시켜 해킹을 한 후 개인정보화 데이터를 유출했다고 주장한다. 특히 해킹을 통해 PC 카메라로 개인 사생활이 담긴 동영상을 녹화했다고 협박한다. 이는 일명 몸캠 피싱 범죄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다.
협박범들은 100~200만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자신들이 알려주는 비트코인 지갑으로 보내지 않을 경우 소셜미디어에 동영상 등을 올리고 가족, 지인 등에서 동영상을 보내겠다고 협박한다.
협박범들은 메일에서 “당신의 명성을 영원히 파괴할 수 있다”며 “내 비트코인 지갑으로 비트코인을 이체해라. 결제 금액이 도착하면 즉시 동영상을 파기하고 다시는 괴롭히지 않을 것임을 보증한다. 결제를 완료하는데 50시간이 있다”고 주장했다.
![비트코인 지갑 수소 정보 사이트에 신고된 협박 메일 내용 [사진: 체크비트코인어드레스 사이트]](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201/431670_417434_3037.jpg)
하지만 전문가들은 해킹보다는 사기일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한다. 랜섬웨어 공격처럼 실제로 해킹을 한 후 협박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해킹을 하지 않고 무작위로 협박 메일을 보낸 후 그 내용에 현혹되는 사람들을 노린다는 것이다.
이런 방식은 혹스(Hoax) 메일이라고 지칭된다. 한국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기승을 부리고 있다. 협박범 등은 구글 번역 서비스 등을 이용해 각국의 언어로 메일을 작성한 후 유포하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지난해에도 혹스 메일이 기승을 부렸다. 지난해 11월 24일 보안업체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 대응센터(ESRC)는 대량으로 혹스 메일이 유포 중이라며 주의를 당부한 바 있다.
혹스 메일은 예전부터 알려져 있는 공격 방식이고 또 사기 방식도 허술하지만 여전히 위험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청소년들이나 보안, IT 등을 잘 모르는 사람들의 경우 메일 내용에 현혹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협박범들이 몸캠 피싱 범죄를 사칭하고 있는 것은 청소년들을 노린 것이라는 지적이다.
일부 커뮤니티 등에서는 청소년들이 메일 내용이 사실인 것인지 문의하는 사례도 있다. 협박 메일을 받은 후 주변에 이야기하지 못하고 고민하는 피해자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협박 메일 사례를 알림으로써 협박이 사기라는 점을 국민들에게 인식시켜야 한다고 지적한다. 또 협박 메일을 받은 경우 협박범의 지시에 따라서는 안 되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보안업체, 경찰 등에 신고해 안내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해킹, 피싱 등을 당하지 않도록 백신 프로그램을 항시 활용하고 의심스러운 사이트 방문이나 알 수 없는 이메일 첨부 파일을 내려받기 해서는 안 된다는 설명이다.
영상=디지털투데이 디퍼뉴스 데일리픽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암호화폐 시장은 무법천지? 지난해 범죄율 크게 줄어
- 새해에도 계속되는 로그4제이 취약점 우려...해킹 경고 잇따라
- 조경식 차관, 사이버위협 대응현장 점검…"24시간 모니터링"
- 가상자상 거래소 사칭 금융사기 기승...한달에 한번꼴 주의보
- "로그4j 취약점 해결 장기화·IoT 공격 시도 지속"
- 개인정보 유출 범정부 대응체계 구축한다...개인정보위, 내년 업무계획 마련
- 해킹 가장 비트코인 요구 금융사기 주의보...혹스 메일 확산
- 사이버범죄·금융사기 주의보...설 연휴 앞두고 기승 우려
- 금융보안원 “보이스피싱 앱 92% 3개 조직이 유포”
- 소액 대출 받으려다 보이스피싱 연루?...1020 겨냥 범죄 활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