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A 충청본부 전자파 측정 현장컨설팅 모습 [사진 : KCA]
KCA 충청본부 전자파 측정 현장컨설팅 모습 [사진 : KCA]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일상 속 가전과 유아동시설 뿐만 아니라 5G 기반 스마트 공장·캠퍼스도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생활 속 전자파에 대한 국민의 궁금증과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국민이 신청한 생활제품과 유아동시설, 5G 등을 대상으로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 모두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을 만족했다고 28일 밝혔다.

가정용 커피머신 등 국민이 신청한 생활제품 6종은 국립전파연구원(RRA)에서, 유아동시설 등 생활환경 1921곳과 5G 기반 융·복합시설 547곳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에서 전자파를 측정·분석했다.

먼저, 생활제품 6종에 대해 최대 전자파 노출량을 측정한 결과, 가정용 커피머신, 유모차 통풍시트는 기준 대비 1% 내외 수준, 가정용 빔프로젝트, 가정용 게임기, 허리 찜질기, 홈캠 CCTV는 기준 대비 1% 미만으로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부터 11월까지 생활환경 1921곳에서 이동통신, 와이파이, 지상파 TV방송의 전자파 환경 측정결과,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대비 0.01~2.39%로 나타났다.

이어 올해 유아동 시설 전자파 안전성 평가는 대상시설을 기존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에서 지역아동센터를 추가해 총 801곳(2020년 658곳)에서 실시했고, 측정지점도 교실, 복도, 놀이터뿐만 아니라 인근 통학로, 어린이보호구역 등으로 확대했다. 다양한 지점에서 전자파 세기 측정한 결과, 인체보호기준 대비 0.01~1.17%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중이용시설은 행정복지센터, 사회복지관, 도서관 등 공공시설, 대형 행사·공연장, 유람선, 여객선 등 1120곳을 대상으로 전자파 측정을 했으며, 인체보호기준 대비 0.01~1.59%이었다.

또 유동·거주인구가 많아 이동통신 기지국 밀집도가 높은 상업 및 주거지역 1000곳에서 전자파 환경 측정을 실시한 결과, 상업시설이 밀집된 지역은 기준 대비 0.01~2.39%(실내 0.01~0.77%, 실외 0.01~2.39%), 빌라촌, 대단지 아파트 등 주거지역은 기준 대비 0.01~1.73%(실내 0.01~0.37%, 실외 0.01~1.73%)로 나타났다.

5G(3.5·28㎓)망 기반으로 운영되는 스마트 공장·캠퍼스, 기업망, 복합문화시설 등 융·복합시설의 전자파 안전도 확인했다. 총 547곳(3.5㎓망 기반 시설 417곳, 3.5·28㎓망 동시 운영 시설 130곳)에서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 인체보호기준 대비 0.01~4.15% 수준이었다.

시설 내부에 설치 운영되는 28㎓ 5G기지국은 사람이 근접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지점(통상 1~5m)에서 전용 단말기를 활용해 기지국의 최대 출력 조건을 조성해 측정한 결과다.

한편, 이번 생활제품·공간 측정결과는 RRA ‘생활속 전자파’와 KCA ‘전자파 안전정보’ 누리집에서 자세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생활환경 전자파 측정결과(요약) [단위 : %] [자료 : 과기정통부]
생활환경 전자파 측정결과(요약) [단위 : %] [자료 : 과기정통부]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