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에스티팜]
[사진: 에스티팜]

[디지털투데이 박종헌 기자] 국산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이 본격적인 임상시험 절차에 들어간다.

동아쏘시오그룹 계열사 에스티팜은 지난 24일 mRNA 코로나 백신 후보물질 'STP2104' 임상 1상 시험계획신청(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

STP2104는 변형된 뉴클레오시드를 기반으로 설계된 mRNA다. 전달체로는 지질나노입자(LNP)가 사용된다. 모더나 등이 사용한 물질이다. 국내에서 mRNA-LNP 코로나19 백신 개발이 시도되는 것은 STP2104가 처음이다.

에스티팜은 내년 1분기부터 19~55세 건강한 성인 30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국을 비롯해 다국가 임상 1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임상에 참여한 피험자는 25㎍(마이크로 그램), 50㎍ 두 용량 군으로 나누어 STP2104를 총 2회 단계적으로 투여 받은 후 안전성 및 면역원성을 확인받는다.

이 백신 상용화에는 국내 여러 제약사들이 힘을 합친다. 에스티팜은 지난 6월 국산 mRNA 백신 상용화를 위해 한미약품, GC녹십자,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과 ‘K-mRNA 컨소시엄’을 설립했다.

한미약품은 코로나 바이러스 스파이크 유전자(DNA)를 합성하고, 에스티팜은 이를 기반으로 실제 스파이크를 만들 mRNA를 합성한다. GC녹십자는 완제품 생산을 맡기로 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