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구원이 빅테크의 자금중개업 진출에 관한 분석을 내놨다. [사진: 각사 취합]](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112/429705_416172_2855.jpg)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이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 금융권은 리스크를, 빅테크 기업들은 혁신금융을 강조하고 있다. 그렇다면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은 금융시장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까? 전문가들은 빅테크의 자금중개 사업 추진으로 인한 장점과 단점이 상존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무조건 빅테크의 금융업을 규제하는 것도, 반대로 무조건 허용하는 옳지 않다는 것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연구원은 최근 ‘빅테크의 대출 기능 현황, 영향과 정책과제’라는 분석보고서를 내놨다.
금융연구원은 네이버, 카카오 등 빅테크의 자금중개 서비스 진출에 초점을 맞춰 영향을 분석했다. 여기서 자금중개 서비스는 자금공급자로부터 자금수요자에게 자금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중개하는 것을 뜻한다. 금융회사의 수신과 각종 대출, 투자 등이 이에 해당한다.
보고서는 빅테크의 자금중개업 진출의 장점과 단점이 혼재돼 있다고 분석했다. 긍정적인 요인도 있고, 부정적인 요인도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기존 은행들의 신용평가는 한계가 있다며 정보 불투명성이 높고 미래가치 판단이 어려운 중소기업이나 첨단기술기업 등에 대한 제대로 된 신용평가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빅테크는 자체 플랫폼을 통해 방대한 빅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인공지능(AI) 등으로 분석해 더 정확한 신용평가를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또 빅테크의 정교한 신용평가로 인해 자원배분 효율성이 높아지고 금융포용성도 증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존 금융회사들의 자금중개의 한계로 지적된 담보위주 대출 관행도 빅테크가 개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첨단지식기반 기업들은 유형자산보다 지식, 특허 등 무형자산이 많아 담보대출이 어려운데 이 문제를 빅테크가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빅테크가 자금중개시장에 진입함으로써 시장 경쟁이 강화돼 소비자들의 후생이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빅테크의 자금중개업 진출로 인한 단점도 명확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우선 빅테크가 플랫폼을 활용해 독과점화를 할 있다는 것이다. 빅테크 플랫폼 이용자가 많아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시장지배력이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
![빅테크의 자금중개업 진출에 따른 장점과 단점 [표: 금융연구원 보고서 종합]](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112/429705_416173_2926.jpg)
문제는 빅테크가 자체 플랫폼의 시장지배력을 이용해 반경쟁적인 행위를 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자체 플랫폼에서 자사 제품에만 혜택을 주거나 자사 상품 할인 등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플랫폼을 통해 방대한 데이터를 모을 수 있는 빅테크가 이를 소비자에 대한 가격차별화에 활용할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데이터 기반 신용평가를 통해 위험도가 높거나 수익기여도가 낮은 소비자를 아예 배제할 수 있다는 우려다.
또 빅테크와 기존 은행 간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시장 전체적으로 위험 추구가 확산되면서 금융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고 빅테크의 비금융사업의 리스크가 금융업으로 전이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서는 예상했다. 빅테크의 경영실패나 운영위험 등이 발생할 경우 전체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빅테크의 자금중개 서비스에 장점과 단점이 공존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대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금융소비자보호, 금융시스템 위험 관리를 위한 금융 감독이 이뤄진다는 전제 조건하에 빅테크의 자금중개를 활성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또 기존 금융권의 반발, 형평성 등을 고려해 기존 금융회사들을 위해 부수업무 요건을 유연하게 적용해 금융회사가 할 수 있는 플랫폼 비즈니스를 확대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빅테크의 금융업 확대를 무조건 규제하는 것도 또 무조건 허용하는 것도 적합하지 않다면 장점, 단점을 고려해 복합적인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