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내성암호 시범적용 구성도 [사진: 한국인터넷진흥원]
양자내성암호 시범적용 구성도 [사진: 한국인터넷진흥원]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올해 이스트시큐리티, 잉카인터넷, NSHC 등 국내 정보보호기업 3사와 ‘양자내성암호 시범적용’을 추진한 결과 국내 ICT상용 제품에 양자내성 암호를 적용했을 때 사용 가능한 수준임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양자내성암호는 양자컴퓨터 환경에서 암호 해독이 불가능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공개키암호 알고리즘이다.

KISA는 이번 사례가 그동안 연구실 차원에서 진행해 왔던 양자내성암호 테스트를 국내 상용 ICT 제품으로 확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KISA는 지난 5월 협약 체결 후 11월까지 6개월 간 이스트시큐리티의 ‘악성코드탐지시스템(MIST)’, 잉카인터넷의 ‘nProtect’, NSHC의 ‘nFilter’ 등 총 3종에 국내·외 양자내성암호를 시범 적용하고 성능테스트를 진행했다.

시범 적용 과정에서는 기존의 공개키암호가 적용된 제품을 국내 양자내성암호 코드 및 해외 양자내성암호 라이브러리로 교체한 후 암호키 교환 또는 암·복호화 속도를 테스트하고 비교했다. 그 결과 양자내성암호를 국내 ICT제품에 대체 적용해도 성능상 큰 문제가 없는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이번 시범적용의 경우 양자내성암호에 적합한 암호키 검증 등의 부가기술이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서비스를 위해서는 안전한 난수발생기, 암호키 관리 기술 등을 적용한 추가적인 테스트와 개선이 필요하다.

최광희 KISA 디지털보안산업본부장은 “IBM, 구글 등 글로벌 기업 주도로 양자컴퓨터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공개키암호 해독 위험은 계속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KISA는 양자컴퓨터의 보안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차세대암호로의 전환 준비를 위해 산업계·학계와 협력해 실증 확대, 기술 개발 및 다양한 테스트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