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내년(2022년) 예산이 18조5737억원으로 확정됐다. 이는 올해 예산 17조5154억원 보다 1조583억원(6.0%) 늘어난 것이다. 디지털뉴딜 2.0, 기초·원천과 첨단전략기술 연구개발(R&D), 3대 신산업 육성에 집중 투입하기로 했다. 특히 디지털뉴딜 분야에는 올해보다 33.3% 증가한 2조7300억원이 투입된다. 

과기정통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도 예산과 기금운용계획’이 3일 국회 본회의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우선, 과기정통부는 디지털뉴딜 분야에 2조7300억원을 투입한다. 디지털뉴딜 1.0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 댐 등 인프라를 활용해 민간영역에서 새로운 제품과 다양한 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댐등의 인프라를 활용해 민간에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메타버스 등 초연결 디지털 콘텐츠 신산업을 육성하고 사이버 보안 위협 대응체계도 강화한다.

기초·원천과 첨단전략기술에는 총 7조5600억원이 투자된다. 연구자들의 연구에 매진할 수 있도록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예산을 확대한다. 민간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우주개발과 글로벌 백신허브 구축도 추진한다.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립과 양자컴퓨팅‧핵융합 등 첨단기술 확보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한다.

3대 신산업 육성에는 5800억원이 책정됐다. 바이오헬스 분야 신시장 선점을 위해 신약개발‧재생의료 사업 등에 대한 투자를 늘린다. 인공지능 연산성능과 전력효율을 향상시키는 신개념 PIM(Processing In Memory)반도체 핵심기술 개발과 미래차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이밖에 인재양성에 7400억원, 포용사회 실현에 8900억원, 우정서비스 분야에 5조46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한편 38개 부‧처‧청이 수행하는 2022년 정부 총 연구개발(R&D) 예산은 2021년 27조45억원보다 2조3750억원(8.7%) 증가한 29조7755억원으로 확정됐다. 30조원에는 조금 못미치는 금액이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내년도 과기정통부 예산은 대한민국 디지털 대전환과 사람 중심 과학기술 혁신 선도국가 실현을 위해 사용될 것”이라며 “코로나19 이후 경제회복과 경제구조 변화 대응에 적극적인 역할을 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