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나무가 메타버스 플랫폼 '세컨블록'의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다. [사진: 두나무]](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111/426508_414507_2542.jpg)
[디지털투데이 문정은 기자] 두나무가 30일 메타버스 플랫폼 '2ndblock(세컨블록)'의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다.
두나무는 세컨블록의 강점으로 ▲현실과 같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확장성 ▲직관적인 사용성 ▲비즈니스부터 K-POP 공연까지 어떤 목적에도 최적화된 활용성을 꼽았다.
우선 세컨블록은 메타버스에 화상 채팅 기능을 결합해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낮췄다. 세컨블록에 접목된 화상 채팅 기능은 단순히 일 대 일의 관계를 넘어 가상 공간 안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다.
이용자는 자신의 아바타를 원하는 곳 어디든 이동시킬 수 있으며, 아바타 간 거리가 가까워지면 화상 채팅 창이 생성돼 서로 자연스러운 소통과 정보 공유가 가능하다.
공간 생성 시 사전 설정된 영역 안에서 여러 명의 이용자가 모여 실시간으로 회의나 토론을 진행할 수 있고, 스포트라이팅(확성기) 기능을 활용해 공간 내 전체 이용자 대상으로 공연도 가능하다.
세컨블록은 직관적이고 간편한 2D 기반 UI(User Interface)다. 가상 공간 내 정보들이 2D로 구현되기 때문에 별도의 학습이나 복잡한 절차 없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공간 개설이나 아바타 조작 등 이용 방법이 단순해 디지털에 익숙하지 않은 세대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세컨블록 내 한 공간에 최대 1000여명까지 접속할 수 있다. 이에 작게는 사적 모임, 대학 강의나 기업 회의부터 크게는 전시회, 콘서트까지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공간을 개설하고 모객할 수 있다. 또 기업 비즈니스뿐만 아니라 미술, 영화, K-POP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세컨블록 오픈 베타 버전에서는 ▲이용자의 디지털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총 20 종류의 아바타 ▲오피스, 파티룸, 대강당 등 목적 별로 디자인된 5개의 프리셋 블록(프리셋 공간) ▲이용자 개인이 6가지 컨셉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마이 블록(개인 공간) ▲모든 이용자들이 함께 모여 소통하거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4개의 공용 블록(공용 공간) 등이 마련됐다. 별도의 회원 가입 절차 없이 구글, 카카오, 애플, 페이스북 계정과 연동해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다.
세컨블록은 향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출시는 물론 이용자가 직접 콘텐츠들을 제작하고, 이를 판매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개발해 세컨블록 내 콘텐츠 생산 및 거래, 가치 창출 활동이 활발히 이뤄지도록 다각도로 지원할 계획이다. 정식 오픈은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NFT(대체불가토큰) 등 두나무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도 모색할 예정이다.
두나무 관계자는 "메타버스는 1990년대의 PC, 2000년대 인터넷, 2010년대 모바일에 이어 우리 삶을 바꿀 차세대 ICT 혁신"이라며 "세컨블록을 시작으로 두나무는 메타버스 산업이 가진 무한한 기회를 발굴하고, 적극적인 개발과 투자를 통해 차세대 콘텐츠 경제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업비트 NFT' 흥행조짐...에어드롭 NFT 1200만원에 거래
- 두나무, NFT 거래 플랫폼 '업비트 NFT' 베타 서비스 시작
- '이젠 NFT'...4대 원화 코인거래소 신사업 본격화
- 두나무, 우리금융 새주주로...우리은행-케이뱅크 삼각동맹 주목
- 업비트, 국제표준 개인정보보호 인증 획득…ISO 4종 확보
- 두나무, 중학생 대상 디지털 금융 교육 실시
- 두나무 '증권플러스 비상장' 출시 2년 만에 회원수 80만명 돌파
- [블록체인핫이슈] 메타버스·NFT·게임...가상자산 新 트렌드 부상
-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에 남궁훈 카카오게임즈 대표 선임
- '메타버스+NFT' 진출 지름길은?...가상자산 거래소 투자몰린다
- 베일 벗은 두나무 메타버스 '세컨블록'...동기부여 부재 속 B2B 활용 주목
- [블록체인핫이슈] 가상자산 과세 1년 유예…대세 부상 '메타버스+NFT'
- 두나무 2022년 글로벌·NFT·메타버스 힘준다
- 업비트 독과점 논란에 이석우 "4대 거래소만 따질 문제 아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