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만든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시스템 개선 구축’이 올해를 빛낸 적극행정 우수사례 ‘대상’을 차지했다.
과기정통부는 인사혁신처와 행정안전부가 공동으로 주관한 ‘2021년 하반기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행정안전부와 협업으로 제출한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시스템 개선 구축 사례로 대상을 수상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에 대상을 받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시스템 개선 구축 사례는 국민들이 코로나19 백신접종 사전예약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과기정통부 주도로 행안부 등 관계 부처와 협력해 ‘민ㆍ관 합동 전담팀(T/F)’을 구성, 질병관리청의 사전예약시스템을 개선한 사례다. 특히 50대 예약 시(7월12~20일)의 장시간 예약 대기 등 가장 큰 부하요인으로 지적됐던 본인인증 부분을 민간 클라우드로 이전해 클라우드의 확장성을 적극 활용했다.
이를 통해 기존 10시간 이상 예약대기 시간을 18~49세 예약 시(8월9~21일) 짧게는 2~3분, 길어도 10여분 만에 완료될 정도로 대기 시간을 크게 단축했다.
본인 인증 수단 다양화(3개 → 5개), 신호등 알림 도입 등으로 다양한 편의성을 제고했다. 1명이 동시에 여러 기기로 접속하는 것을 제한해 공정성을 높임으로써 국민의 입장에서 더욱 편하게 사전예약을 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이는 민ㆍ관의 적극적인 협업이 짧은 시간동안 빠르게 문제를 해결하는데 크게 기여한 사례로서, 과기정통부가 민간 클라우드 등 뛰어난 역량을 가진 정보통신기술(ICT)을 집약적으로 활용하여 국민의 불편을 효과적으로 해소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국민들께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다양한 혁신을 통해 적극행정을 실천해 나가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직원들이 적극행정을 펼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5G 특화망 새 이름을 찾아주세요"
- 과기정통부 "KT 통신장애 후속대책, 시스템 자동화로 인재 방지"
- 과기정통부 "알뜰폰, 이동통신3사 자회사 합산 점유율 제한 검토 "
- 과기정통부, 비식별화 기술에 2024년까지 90억원 투자
- 코로나 위험도 '매우높음' 상향…4주간 특별방역대책 시행
- 중기 CISO 부서장급도 가능...정보통신망법 시행령 개정
- 구직사이트 데이터 이용료 면제·디지털 창업 멘토링...청년 지원책 마련
- 과기정통부 내년 예산 18조5737억원…6% 증가
- 최대 5배 빠른 '와이파이6E' 제주에 구축…서비스 시연
- 연매출 3000억 이상 상장사, 정보보호 공시 9일부터 의무화
- 과기정통부, 디지털 탄소중립 시동... 삼성전자·SKT와 협의 나서
- 과기정통부, 완전자율주행 조기상용화 위한 민관합동 기술포럼 출범
- 임혜숙 장관 "아이폰13 통화 문제 적극 대응...원인 파악"
- 과기정통부, 메타버스 어워드...올해의 우수 메타버스 '맥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