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열린 유료방송업계 상생협의체 회의 모습 [사진 : 과기정통부]](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111/426277_414388_2135.jpeg)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방송통신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9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 국제회의실에서 ‘방송채널 대가산정 개선방안’ 관련 공개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날 토론회는 학계 전문가, 업계 관계자 등과 함께 두 부처가 공동으로 운영해 온 ‘방송채널 대가산정 개선 협의회’(이하 협의회) 논의결과를 바탕으로 이뤄진다. 협의회 위원장을 맡았던 김도연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가 진행하고, 간사역할을 했던 한국정보통신연구원(KISDI) 곽동균 박사가 그동안의 경과 및 논의결과를 정리해 발표한다.
방송사업자 단체 등에서 추천받은 업체 관계자 및 학계, 시민단체, 과기정통부와 방통위 담당과장 등 총 11명이 토론자로 참석하며, 보다 다양한 의견수렴을 위해 현장에서도 의견을 접수할 예정이다.
협의회는 지난 1월 27일 구성됐고, 방송채널 대가가 사업자간 계약에 기반 한 것인 만큼 해당 사업자들로부터 의제를 제출받아 논의주제를 자율적으로 선정해 수차례 심도 있는 논의와 관련 사업자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쳤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채널계약의 공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시청율 지표 반영, 평가결과 공개, 평가자료 검증 등의 내용을 담은 ‘플랫폼사업자의 채널평가 개선방안’과 채널종료, 계약시기, 분쟁/금지행위 제도개선, 콘텐츠 대가지급규모 개선방안 등을 담은 ‘채널 거래절차 개선방안’이 제시돼 논의될 예정이다.
조경식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유료방송시장의 존속과 성장의 기본은 시청자다”라며 “사업자간 갈등이 시청자의 볼 권리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방송프로그램 거래나 계약의 룰이 정해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 방통위 부위원장은 “사업자간 경쟁과 이해관계가 복잡할수록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우수한 콘텐츠와 공정한 경쟁 환경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지향점이 될 수 있다”며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방송생태계 전반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방통위와 과기정통부는 이날 토론회 결과를 토대로 ‘채널계약과 평가 등에 관한 기본사항을 담은 가이드라인’과 과기정통부 상생협의체에서 논의한 ‘PP평가 기준 및 절차 표준안’을 조만간 공동으로 확정·발표할 예정이다. 이어 과기정통부는 상생협의체에서 논의한 ‘채널 정기개편 개선방안’을 연내 확정·발표한다는 계획이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케이블TV도 IPTV 서비스 가능해져...기술중립성 도입
- 과기정통부 "KT 통신장애 후속대책, 시스템 자동화로 인재 방지"
- 과기정통부 "알뜰폰, 이동통신3사 자회사 합산 점유율 제한 검토 "
- 과기정통부, 비식별화 기술에 2024년까지 90억원 투자
- 방송 채널 선계약 후공급 명문화…대가 산정 제도 개선
- 방통위 '2021 장애인 미디어축제' 개최
- 통신3사, 이용자보호 전년보다 못했다…KT 인터넷 2등급 강등
- 포털·SNS, 불법촬영물 신고‧삭제요청 기능 의무화된다
- 구직사이트 데이터 이용료 면제·디지털 창업 멘토링...청년 지원책 마련
- 방통위 "HCN, OBS에 재송신료 지급해야"…방송 분쟁 조정 성립
- 방통위, 제3회 '지능정보사회 이용자보호 국제컨퍼런스' 개최
- 방통위, 2022년 예산 2561억 편성…올해 대비 3.6% ↑
- 연매출 3000억 이상 상장사, 정보보호 공시 9일부터 의무화
- 방통위, 국악방송 등 10개 방송사업자 재허가
- 방통위 2020년 방송평가...지상파 KBS1·종편 JTBC 1위
- 조경식 과기정통부 2차관, 중소 종합유선방송 정책방향 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