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서울 성동구 패스트파이브 서울숲점에서 열린 '스타트업 정책 토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왼쪽)가 김슬아 컬리 대표 발표를 듣고 있다. [사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디지털투데이 정유림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스타트업 업계를 만나 사업 성장 속도와 행정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원스톱 지원제도 도입을 제안했다.

이 후보는 8일 서울 성동구 패스트파이브 서울숲점에서 열린 '스타트업 정책 토크'에서 "행정 경직성으로 변화하는 시대에 새 사업을 시작하는 이들의 어려움을 알고 있다"며 "담당 공무원도 공부를 한 다음 인허가를 내줘야 하는 상황으로, 여기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는데 원스톱 지원 제도 도입이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원스톱 지원 제도와 관련해 이 후보는 "처음에 민원을 받은 창구 공직자가 관련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구조를 생각해 볼 수 있다"며 "이는 스타트업 성장 속도를 따라갈 수 있을 뿐 아니라 행정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법이라고 봐 각별히 검토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번 행사는 20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코리아스타트업포럼(코스포)이 스타트업 업계를 대표해 대선 후보에게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를 이끌어 갈 스타트업 정책의 방향'을 제안하고 업계 목소리를 전달하려는 취지로 마련됐다. 

이날 행사엔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의장인 김슬아 컬리 대표, 안성우 직방 대표,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 대표를 김범준 우아한형제들 대표, 이효진 8퍼센트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 후보 답변에 앞서 각 업계 대표들은 스타트업이 체감하는 규제 관련 고충, 유니콘 기업 육성 필요성,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인터넷·플랫폼 사업자가 기존 업계와 어떻게 상생을 도모하는지 등을 털어놨다. 

마켓컬리를 운영하는 컬리 김슬아 대표는 "스타트업은 스피드가 생명인데 규제와 관련해 기관 여러 곳에 물어보면 시간이 흐를 때가 많아 규제 방향성이 전체적으로 바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또 초기 스타트업에 대한 정책 지원은 늘었지만 규모를 더 키워나가려는 기업들에 대한 스케일업 금융 등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했다.

이 후보는 스타트업 생태계 성장을 지원하되 플랫폼 독과점 문제는 경계해야 한단 입장도 밝혔다. 그는 "창의와 혁신을 이끄는 스타트업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지만 그에 상응하는 사회적 책임도 뒤따라야 한다"며 "혁신의 결과를 누리는 건 당연하지만 자칫 독점에 의한 과도한 이익 추구로 가는 건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경기도지사 재직 당시 공공 배달앱 '배달특급' 서비스를 선보인 것과 관련해 이 후보는 "공공 배달앱으로 스타트업 업계에서 이를 오해한다는 이야기가 있는 걸로 안다"며 "공공 배달앱이 공공 영역의 우월성을 강제한 것이라기보단, 또 다른 시장 주체가 참여한 것으로 이해해주길 바라며 공공 배달앱을 배달의민족이 이겨내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대전환 시기에는 민간의 도전과 혁신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며 "이전 시대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으로, 사회 경제적 약자들을 배려하는 동반성장을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코스포는 이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의 만남 이후 대선 후보 초청 행사와 정책 제안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영상=디지털투데이 디퍼뉴스 데일리픽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