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핀테크지원센터가 내년 2월까지 디지털 혁신금융을 위한 발전 전략을 마련한다. [사진: 셔터스톡]](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110/422727_412318_5918.jpg)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핀테크 산업 육성의 실무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한국핀테크지원센터가 내년 2월까지 디지털 혁신금융을 위한 발전 전략을 마련한다. 금융당국의 혁신금융 정책에 변화가 예상된다.
29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한국핀테크지원센터는 최근 조달청 나라장터에 디지털 혁신금융을 위한 발전 전략 연구 용역을 진행한다고 공고했다. 센터는 11월 중 사업자를 선정해 오는 2월까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금융당국과 금융권은 핀테크 생태계 조성을 위해 2015년 3월 민관 합동으로 핀테크지원센터를 설립했다. 이후 2018년 1월 센터는 사단법인 형태로 재출범했다.
센터는 이번 연구와 관련 제안요청서에서 “그동안 정부는 금융분야 디지털 혁신을 촉진하고, 금융이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디지털 금융을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추진했다”면서도 “금융의 디지털화가 가속화 되는 환경 변화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추진 중인 정책에 일부 보완이 필요하다”고 연구 취지를 설명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은 2020년 7월 디지털 금융 혁신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금융당국은 마이데이터, 오픈뱅킹, 금융규제 샌드박스 등에 초점을 맞춘 정책을 발표했다.
그런데 최근 플랫폼 금융, 인공지능(AI) 금융 등 새로운 이슈가 등장하면서 이에 대한 전략과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또 미국, EU 등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금융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에 변화된 상황에 맞춰 디지털 혁신금융 발전 전략과 세부과제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센터는 이번 연구를 통해 미국, 영국, EU 등 해외 각국의 디지털 금융 관련 입법 동향 및 정책을 분석할 예정이다.
또 개인정보, 가명정보 등 데이터 결합이 활성화 될 것에 대비한 데이터를 통한 디지털 혁신금융 전략을 마련한다. 또 금융권에서의 AI 활성화 인프라 조성 등 다양한 신기술 활성화 방안도 연구한다.
센터는 플랫폼에 초점을 맞춘 대응 방안도 준비할 예정이다. 금융플랫폼 생태계를 조성하는 방안과 이에 따른 소비자보호 방안 등을 마련한다. 여기에는 빅테크 기업들의 시장지배력에 대한 관리, 감독 등 빅테크 플랫폼 리스크에 대한 규율 방안도 포함될 예정이다.
센터는 법제도 개편과 관련해 IT 신기술이 금융 부문에 적용되는 과정에서 금융법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중앙은행발행디지털화폐(CBDC) 도입 등에 맞춘 전략도 수립할 예정이다.
센터의 연구 내용을 보면 AI, 플랫폼, 빅테크 규제, CBDC 등 최신 이슈를 중심으로 디지털 혁신금융 전략을 재편하려는 모습이 엿보인다. 연구 내용은 내년 상반기 중 금융정책과 한국핀테크지원센터 운영 방안에 반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핀테크핫이슈] 국감 쟁점 떠오른 빅테크 규제...카카오페이 결국 IPO 연기
- 금융규제 샌드박스 시행 2년..."고용창출 1237명·투자유치 2732억"
- "변해야 산다"...시중銀 생활금융 플랫폼 전환 박차
- 금융당국의 혁신금융 서비스 지정 5가지 요건은?
- 혁신금융 서비스 지속성 보장한다...금융당국 준비 착수
- 금융 마이데이터 통합인증 등 혁신금융 서비스 신규 지정
- 금융위 "금융회사의 핀테크 인수 허용 추진"
- 뉴욕증시, 기술주 강세로 상승…나스닥 최고 마감
- [신간] 150가지 사례로 AI활용법 다룬 비즈니스 참고서
- 금융권, 고객들에 연 2회 금리인하요구권 안내
- [핀테크핫이슈] 금융당국 디지털 혁신금융 전략 다시 짤까?
- 금융서비스도 게임처럼...'게이미피케이션' 금융권 새 화두 부상
- 은행권 IT 공지 급증...디지털 리스크 금융 전이 우려
- '마이데이터 선점하자'...은행권 내달 서비스 출격 총력전
-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는 쪼개기 상장...금융플랫폼 규제 마련해야”
- 한은 "CBDC 차질없이 준비...내년 6월 모의실험 완료"
- 금감원 "플랫폼 금융 중개 감독 강화...금융 클라우드 서비스도 점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