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종렬 SK텔레콤 인프라 부사장이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110/421353_411606_4811.jpg)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SK텔레콤이 국회에서 알뜰폰 시장에서의 철수를 결정할 경우 이에 따르겠다고 밝혔다. KT와 LG유플러스의 경우 기본적으로 ‘상생’이라는 컨셉 안에서 중소회사와 협력 중이라고만 설명했다. 이에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용자들의 권리 침해 부분이 있어 고민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과기정통부의 경우 사실상 반대 입장을 낸 것으로 보인다.
강종렬 SK텔레콤 ICT인프라 센터장은 20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알뜰폰 자회사의 시장 철수를 요구하는 윤영찬 의원(더불어민주당)의 질의에 “국회나 정부에서 결정이 나면 따르겠다”며 “현재 시장 사업자간 관계가 복잡하지만 전향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윤 의원은 “도매대가 인하, 전파사용료 면제 등 알뜰폰 지원정책을 10년째 진행하고 있는데 제도가 취지대로 되려면 이통3사를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알뜰폰 시장에서의 이통3사 자회사 경쟁 제한과 관련해 법안 발의가 이미 이뤄진 상황이다. 하지만 법안소위에서 제대로 논의가 이뤄지지 목했다. 하지만 최근 국회를 중심으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 이통3사 자회사 알뜰폰 시장 점유율은 46.6%로 절반에 육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우상호 의원(더불어민주당)과 허은아 의원(국민의힘) 등도 시장 철수 의견을 냈다. 이동통신 시장에서 제대로된 경쟁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통3사 알뜰폰 자회사를 단계적으로 철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영식 의원(국민의힘) 역시 이통3사 자회사의 점유율을 제한해야 한다는 입장이라 다음 법안 소위 때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권준혁 LG유플러스 부사장은 “기본적으로 ‘상생’이라는 콘셉트로 중소회사와 협력 중”이라며 “계속 논의하겠다”고 답했다.
이철규 KT 네트워크 부문장은 “중소사업자 지원하는 부분도 같이 하면서 상생하는 상황으로 전개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용자들의 권리 침해 부분이 있어 고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김형진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장(세종텔레콤 회장) 역시 정부를 상대로 알뜰폰(MVNO) 시장에서 이동통신 서비스 자회사들 비중을 낮추고 3년내 이들 업체가 철수하도록 하는 정책을 펼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김 회장은 작년 10월 서울 서대문역 근처에서 문을 연 알뜰폰 홍보관인 ‘알뜰폰 스퀘어’ 개소식에서 “MNO(이동통신) 자회사들의 점유율을 낮추고 3년이내 사업을 철수하는 정책을 (정부가) 하기를 부탁한다”고 말한 적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국립전파연구원, 제9차 전자파 안전포럼 개최
- 과기정통부 국립전파연구원, 무인이동체 '미래전파 기술워크숍' 개최
- [국감2021] "정부, 유료방송 대가산정 우려...중소PP 위한 방안 나와야"
- [국감2021]임혜숙 "넷플릭스 등 CP 망이용대가 지급 의무 법안 도입 협조"
- [국감2021] 임혜숙 장관 "플랫폼 주무부처는 과기정통부가 맡아야"
- [국감2021] 남아도는 5G 데이터...김상희 "구간별 다양한 요금제 출시해야"
- [국감2021] SKT 이어 KT도 군장병 5G요금제 11월 출시... LGU+ "긍정 검토"
- [국감2021] "'데이터 이월' 요금제 나와야, 알뜰폰 도매대가 일몰제 폐지"
- [국감2021] 유영상 SKT "5G 20배 빠른건 이론적 수치…국민 눈높이 못미쳐"
- [국감2021] 쿠팡 지배구조 방식에 의원들 질타
- [국감2021] 다양한 5G 요금제 나올까...답없는 5G 28㎓ 대역
- SKT-JTBC스튜디오, AI 영상 자막기술 공동 개발
- SKT, AI 커리큘럼 라이브 진행...AI 활용 분야 소개
- 알뜰폰 1000만 가입자 시대...과기정통부, 망도매대가 인하 발표
- 5G 상용화 3년만에 농어촌 읍·면서도 서비스...28㎓ 지하철 와이파이 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