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디지털투데이 크립토 전문 유튜브 실시간 방송 '크아수'(크립토 아나키스트의 직구 수다방)는 지난 8월 26일 방송에서 중앙화 거래소를 주제로 다뤘다.
블록체인 기술 전문 업체 아톰릭스랩의 장중혁 이사와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가 진행한 이번 크아수에선 24일 시행 예정인 특금법 이후 달라질 규제 환경이 업비트나 빗썸 같은 중앙화 거래소들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등에 대한 내용이 공유됐다.
특급법은 암호화폐거래소로 대표되는 가상자산사업자들에게도 자금세탁방지를 의무화하는 것이 골자다. 이를 위해 가상자산사업자들을 정부에 신고하고 자금세탁방지 룰을 따라야 한다. 규제 환경 속으로 들어오는 것이 암호화폐 생태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만 관련 업체들에게 요구되는 이런저런 부담들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장중혁 이사는 이번 크아수에서 특금법을 시작으로 앞으로 가상자산 업권법 등 암호화폐 사업 라이선스 관련 정부 제도가 구체화될 경우 중앙화 거래소들에서 거래 가능한 암호화폐 수는 지금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거래소들에 의존하는 국내 암호화폐 프로젝트들의 경우 상장 기회가 줄어둘 수도 있다는 점도 부각했다. 탈중앙화 금융(디파이) 생태계에 먼저 참여해 가능성을 보여줘야 중앙화 거래소 진입 가능성도 키울 수 있다는 설명이다.
장 이사는 규제가 구체화되면 기존 대형 금융 회사들이 암호화폐 시장에 뛰어들어 현재 중앙화 거래소들을 위협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 과정에서 인수합병(M&A)가 벌어질 수도 있다.
크아수 영상은 디지털투데이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키워드
#크아수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크아수-22]페북부터 카카오까지...인터넷 기업에 암호화폐는 어떤 의미?
- [크아수-21]이제 디앱으로도 뭔가 해볼 만한 타이밍됐다
- [크아수-20]"암호화폐는 새로운 체제다...핵심은 탈국가·탈국경"
- [크아수-19]동시 다발적 각국 암호화폐 규제 우연 or 의도된 협력?
- [크아수-18]NFT부터 디파이까지...올해를 달군 암호화폐 이슈들-1
- [크아수-17]비트코인의 미래에 대한 질문들
- [크아수-16]'암호화폐 대명사' 비트코인의 운명
- [크아수-15]메타버스 자산 인프라, 왜 탈중앙화 방식을 주목하는가?
- [크아수-14]K코인들 무더기 상폐, 암호화폐판 어떻게 바뀌나
- [크아수-13]각국 경쟁 속 인터넷이 파편화되고 있다
- [크아수-12]지금 쏟아지는 NFT는 지속 가능한가?
- [크아수-11]암호화폐, 적정 금융 기술이면서도 파괴적일 수 있다
- [크아수-10]국가의 암호화폐 견제가 본격화되는가
- [크아수-9]프라이빗 아닌 컨소시엄 블록체인에 희망이 있다
- [크아수-8]'이더리움 킬러'들은 생존 가능한가? 도지코인의 미래는?
- [블록체인핫이슈] 알트코인 전성시대 오나…대세로 부상한 NFT
- 가상자산 순풍...비트코인 5만1000달러 돌파
- "미신고 가상자산 거래소 24일 폐쇄...17일까지 종료 공지해야"
- 특금법 열흘 앞으로...중소 코인거래소 "ISMS 거래소에 기회달라"
- [크아수-24]암호화폐, 진정한 탈중앙화 프로젝트로 가기 위한 조건들
- [크아수-25]새로운 체제로서의 암호화폐, 어떤 탈중앙화가 필요한가
- [크아수-26]암호화폐 프로젝트, 왜 오픈소스가 중요한가
- [크아수-27]가상화폐가 아니라 암호화폐인데는 이유가 있다
- [크아수-28]암호학, 블록체인 UX 향상·오프체인 확장도 지원한다
- [크아수-29]법정화폐시대, 암호화폐를 어떻게 볼 것인가?
- [크아수-30]탈중앙화 메타버스의 조건, 오징어게임 카드 NFT를 보라
- [크아수-31]P2E와 혁신, 가능성과 한계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