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NH농협은행]
[사진: NH농협은행]

[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고승범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강력한 가계부채 대응 의지를 표명한 후 일부 은행들이 대출을 제한에 나섰다. 가계부채 급증을 막기 위한 대책이라고 하지만 강력한 처방에 은행 고객들이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이 11월까지 가계 담보대출의 취급을 중단할 예정이다. 또 우리은행과 SC제일은행이 대출 관리에 나섰다.

NH농협은행은 8월 24일부터 11월 30일까지 신용대출을 제외한 가계 담보대출의 취급을 중단키로 했다. 부동산담보대출 뿐 아니라 토지와 임야, 비주택 관련 대출까지 중단할 예정이다.

신규 전세대출, 비대면 담보대출, 단체승인 대출(아파트 집단대출)도 금지한다. NH농협은행의 이같은 조치는 가계대출 관리 강화를 위한 조치로 알려졌다. 

우리은행은 19일부터 전세자금 대출의 신규 취급을 9월말까지 한시적으로 제한하기로 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분기별로 전세자금대출 관리를 하는데 3분기 전세자금대출 한도가 소진된 것”이라며 “신청 취소분이 생기면 한도 범위 내에서 취급 된다”고 설명했다.

SC제일은행은 주택담보대출 상품인 퍼스트홈론의 일부 운영을 8월 18일부터 잠정 중단했다. 중단 대상은 퍼스트홈론 중 신 잔액 기준 코픽스를 기준 금리로 삼는 대출 상품이다. 

또 8월 30일부터는 퍼스트홈론의 영업점장 전결 우대금리를 0.2~0.3%포인트(p) 하향 조정했다. 전세대출 상품인 퍼스트전세보증론의 영업점장 전결 우대금리 폭도 축소한다.

다른 은행들은 아직까지 가계대출 중단, 제한 등을 결정한 바 없다고 밝혔다. 

금융권은 일부 은행들이 가계대출 제한이 정부의 가계부채 대응, 부동산 정책 등과 관련 있다고 해석한다. 특히 최근 고승범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강력한 가계부채 대응 의지를 밝힌 것이 나비효과를 일으켰다는 것이다.

고승범 후보자는 8월 17일 가개부채 관련 금융위 내부 논의에서 “금융위원장에 임명된다면 가계부채 안정을 위한 모든 조치를 강력하고 빠르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개인신용대출의 연봉 수준 축소와 처분약정 위반 주택담보대출자에 대출금 즉시 회수 등을 은행권에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금융위에서는 금융권에 강력한 가계대출 관리를 요구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에 은행들이 대출 관리에 나섰다는 것이다.

또 일각에서는 오는 26일 한국은행이 개최하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하는데 따른 선제적 조치로 보고 있다. 금융권은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연 0.50%에서 연 0.75%로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조치에 금융권과 은행 고객들은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가장 우려하는 것은 가계대출 중단이 다른 은행들은 물론 저축은행, 보험사 등으로 확대되는 상황이다. 

현재 다른 은행들은 가계대출 중단 계획이 없다고 밝히고 있지만 우려는 계속되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A은행에서 가계대출을 중단하면 B은행으로 사람들이 몰릴 수밖에 없다. 그러면 B은행도 가계대출 관리에 나설 수밖에 없다. 가계대출 중단이 풍선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이번 사안에 대해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한 누리꾼은 “이제는 현금을 갖고 집을 사라는 것이냐”고 지적했다. 또 다른 누리꾼은 “집값을 천정부지로 올려놨는데 대출을 막으면 집을 어떻게 사라는 것이냐?”며 “현금 부자가 아니면 집을 사지 말라는 것이냐”고 비난했다. 다수의 누리꾼들은 다른 은행, 다른 금융권으로 가계대출 중단이 확산되는 것이 아닌지 우려하고 있다.

한편 고승범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27일 열릴 예정이다. 인사청문회에서는 가계대출 관리, 대출 중단 등과 관련된 사안도 주요 질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