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SK텔레콤이 올해 발간한 지속가능성보고서를 통해 KT 상황을 고려해 3G 주파수 공유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KT는 이에 대해 좋은 아이디어는 맞지만 확정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이 KT에게 제안을 했거나, 제안을 하지 않았더라도 알려진 이상 KT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검토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동통신3사가 5G 전국망인 3.5㎓ 대역에서 농어촌 공동로밍을 하는 것처럼 3G 역시 비용 절감을 위해 로밍으로 운영하는 것을 검토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통신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해 들은 바 없다는 입장이다. LG유플러스의 경우 3G를 서비스하지 않고 있다. 

SK텔레콤은 최근(이번주) 자사 홈페이지에 2021 발간한 지속가능성보고서를 게재했다. SK텔레콤은 보고서를 통해 3G 가입자 수요 감소를 리스크(위기)라고 표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3G 가입자 수요는 감소 추세이나 망 운용을 위한 비용 지속이 발생한다. 3G는 5G/LTE 대비 요금제가 낮아 수익률 감소로 이어져 이용자당평균매출(ARPU) 감소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며 “3G 네트워크 망이 점차 노후됨에 따라 전국적으로 기지국과 장비 유지 보수 비용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3G 주파수 대역을 LTE로 전환해 사용 시 5G 생태계 활성화 및 한정된 주파수 효율성 증대로 해외 통신 업계의 경우 단계적 3G 서비스 중단 계획 추세”라며 “3G 서비스 종료를 통한 5G 산업 발전 기여 및 소비자 편익 증대를 위한 필요성이 언급된다. 3G 가입자 수요 고려시 향후 10년 이상 3G망 운용비용이 발생한다”고 전했다. 

또한 “(만약 3G 종료 및 3G 주파수 5G 전환 등이 불가능시) 3G 현대화를 통한 전력 효율화가 필요하다. 경쟁사(KT) 상황 고려 해 3G 쉐어링(공유) 방안 검토 중”이라며 “특수목적 단말 등의 사업 확장 고려를 통한 가입자의 단계적 이동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SK텔레콤과 KT는 각각 3.5㎓ 대역에서 10㎒ 폭을 3G 주파수로 이용하고 있다. 양사 모두 지난 2016년 재할당 때 정부에게 3G용으로 20㎒ 폭을 할당받았지만 2년전, 절반인 10㎒ 폭을 LTE용으로 전환한 적 있다. 이런 가운데 SK텔레콤은 3G 주파수 10㎒ 폭을 5G 용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뜻을 밝힌 셈이다.

하지만 이는 정부승인이 필요한 사항이다.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 주파수정책과 관계자는 “SK텔레콤이나 KT에게 3G 주파수 쉐어링(공유)에 대해 논의한 적도 없고, 들어본 적도 없다”고 말했다.

3G 서비스 중단 역시 과기정통부 승인이 필요하다. 과기정통부 고위 관계자는 “SK텔레콤의 경우 2G 종료가 얼마 전(작년 6월)에 이뤄졌다”며 “언젠가는 3G가 종료돼야 하는 것은 맞지만 당장은 아니다.  SK텔레콤으로부터 얘기를 듣지 못했다”고 전했다. 

통신 장비 업계 고위 관계자는 “SK텔레콤이 3G 주파수를 반납하는 형식이 아닌 5G 농어촌 로밍을 고려하는 것 같다”며 “이 경우에도 상당한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의 경우 작년 2G를 조기에 종료했는데, 이를 통해 연 1000억원 이상의 이익을 얻는 것으로 알려졌다. 3G의 경우 2G보다 가입자가 더 많기 때문에 3G를 조기 종료할 경우 2G 종료 때보다 더 많은 이익을 거둘 것으로 보인다.  

과기정통부가 발표한 무선통신서비스 가입자 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3G 가입자 수(알뜰폰 포함)는 약 417만명이다. 3G 가입자가 전체 가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8%다. SK텔레콤이나 LG유플러스가 2G를 종료할 때 가입자 비중은 전체의 약 1%대였다. 

한편, 최근 LG유플러스는 과기정통부에 3년전 경매에서 주파수 혼간섭 문제로 이격된 3.40~3.42㎓ 대역 20㎒폭 주파수 할당을 공식적으로 추가 요청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13일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이동통신3사는 각자  의견서를 정부에 낸 것으로 확인됐다. SK텔레콤과 KT의 경우 특정 사업자(LG유플러스)만을 위한 추가 주파수 할당이 불합리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