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통신서비스에서 가장 많은 분쟁조정을 신청한 통신사는 KT인 것으로 나타났다다. 분쟁해결 비율이 높은 사업자는 무선통신서비스에서는 LG유플러스, 유선통신서비스에서는 SK텔레콤인 것으로 조사됐다.
방송통신위원회 통신분쟁조정위원회는 지난 2019년 6월~2020년 12월 말까지 727건의 분쟁조정 신청을 받아 53%인 385건을 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분쟁조정 신청은 무선통신서비스의 경우 KT가 184건(38.4%)으로 가장 많았고 가입자 10만명당 신청도 KT가 1.1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유선통신서비스에서도 KT가 97건(39.1%)으로 가장 많았다. 가입자 10만명당 신청 건수는 LG유플러스가 1.4건으로 많았다.
분쟁유형은 무선통신서비스의 경우 ‘서비스 품질’ 관련이 170건(23.4%), 유선통신서비스는 '‘계약체결·해지’ 관련이 127건(17.5%)으로 가장 많았다.
분쟁해결 비율이 가장 높은 사업자는 무선통신서비스의 경우 LG유플러스(58.0%)이며, KT(39.7%), SK텔레콤(31.7%)가 뒤를 이었다.
유선통신서비스의 경우 SK텔레콤(73.3%), SK브로드밴드(73.1%), KT(68.0%), LG유플러스(63.2%) 순으로 나타났다.
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안에 대한 수락률은 무선통신서비스의 경우 LG유플러스(22.7%)가 가장 높았고, KT(13.6%), SK텔레콤(8.0%)가 뒤를 이었다.
유선통신서비스 경우 SK브로드밴드(32.7%), LG유플러스(23.5%), KT(21.6%), SK텔레콤(20.0%) 순으로 조사됐다.
이번 현황분석은 통신서비스 시장의 영역별로 ‘무선통신서비스’, ‘유선통신서비스’로 구분했다. 피신청인으로서 1건 이상의 분쟁조정이 신청된 22개 통신사업자가 모두 분석대상이다. 분석기준은 각 사별 자사의 분쟁신청 건수를 기준으로 조정안 수락률, 조정전 합의율 등 분쟁해결 비율을 산출했다.
이번 ‘통신사업자 통신분쟁조정 대응현황’은 통신분쟁조정제도 시행 2주년을 맞아 방통위가 분쟁사건에 대한 사업자들의 대응태도와 분쟁해결의 노력정도 등을 국민들에게 알리고, 사업자들이 통신서비스 관련 불편해소에 적극 나서도록 유도하기 위해 공개했다.
내년에는 올해 1월 대국민서비스로 시작한 통신분쟁조정지원시스템의 사건 처리결과를 활용해 보다 다양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반영한 평가결과 등을 매년 정례화 하여 공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안으로 사업자들의 사실관계 확인 대응정도(신속성), 평균처리기간 및 법정기한 준수율(60일 이내), 분쟁조정 전담인력, 조정 전 합의율, 조정안 수락·불수락률 등 조정대응의 적극성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와 평가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한상혁 방통위 위원장은 “분쟁이 발생했을 때 이용자 입장에서 바라보고 해결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며 “사업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통신분쟁 조정절차에 참여하여 국민들의 통신서비스 불편을 신속히 해소해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SK브로드밴드-현대카드, 미디어 전용 신용카드 출시
- 방통위, 제2기 통신분쟁조정위원회 출범
- 방통위, '네이버' 미디어렙사 주식 소유 위반에 주식 처분 명령
- 방통위, 방통사무소 통해 부동산 불법스팸 전송 방지 예방 활동
- 방통위, 지역밀착형 방송광고 지원사업 2차 공모 실시
- 방통위, '온라인 플랫폼 법제포럼' 출범
- 폭염·한파·건조 라디오 재난방송 호명 기준 바뀐다
- 지난해 방송사업매출 증가...광고매출은 감소
- 방통위 '제4기 인터넷 상생발전 협의회' 출범
- 방통위, AI 추천 서비스 '이용자 보호 원칙' 발표
- 방통위,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 등 '방송법 시행령' 7월 시행
- SKT, GSMA '모바일 접근성·포용성' 부문 최우수상 수상
- 시청각 장애인 TV 시청 기능 고도화... 올레tv 셋톱박스 개선
- 김현 방통위 부위원장, 여름철 풍수해 대비 KBS 송신소 점검
- 악성 리뷰 근절한다...온라인 플랫폼 이용사업자 보호 추진
- [국감2021] 통신분쟁위원회, 5G 분쟁 합의 거부 60% 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