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전경 [사진: 국회]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전경 [사진: 국회]

[디지털투데이 금융·핀테크팀] 서울 여의도 국회 부지(면적 33만㎡)에 디지털 금융과 핀테크 특구를 조성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주장은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정책연구 결과 도출된 내용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31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지난해 진행한 ‘홍콩 국가보안법 이후 아시아 금융허브 정책의 국가균형 발전전략’ 연구 최종보고서에서 국가 균형 발전 관점에서 금융허브 전략이 담겼다.

⦁ [단독] 균형위 "국회 세종 이전...여의도 디지털 금융특구 조성"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홍콩 국가보안법 사태로 아시아 금융허브가 재편되는 상황에서 국가 균형 발전 측면의 금융허브 육성 정책을 지난해 하반기 연구했다.

⦁ 국가균형발전위가 왜 금융허브 전략을?...국책은행 이전 포석 주목

지난해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연구를 진행할 당시에는 서울에 위치한 금융기관들을 지방으로 이전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있었다.

그런데 연구 결과는 특정 기관의 이전이 아니라 지역별 특색을 살리는 방안으로 결론이 나왔다. 서울은 종합금융, 부산은 해양과 파생금융, 전주는 글로벌 농생명 금융으로 특화해 금융트라이앵글을 만들자는 것이다.

특히 연구에서는 여의도 국회를 세종시로 이전하고 그 자리에 디지털 금융, 핀테크 특구를 만들자는 제안이 담겼다. 현재 여의도에는 KDB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은 물론 KB금융그룹, KB국민은행 등 대형 금융회사들이 있다. 또 다수의 증권사들도 여의도에 위치해 있다. 여기에 IT기업, 핀테크 기업 등을 더해 여의도를 발전시키자는 것이다. 

다만 국회 이전 문제는 국가정책 그리고 정치적 이슈인 만큼 쉽게 결정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내년 3월 대통령 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더 민감한 주제다.

설령 국회를 세종시로 이전한다고 해도 그 부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자는 주장도 많다. 시민들을 위한 공원, 문화 공간 조성이나 주택 문제 해결을 위해 아파트 건축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앞으로 국회 부지의 핀테크 특구 조성은 정치권, 금융권의 뜨거운 감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지난 주에는 무슨 일이?

지난 26일부터 28일까지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이 열렸다. 이 행사에서 이형주 금융위원회 금융혁신기획단장은  핀테크 정책 방향을 소개했다.

이 단장은 “핀테크 기업의 성장 단계별 지원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 핀테크육성지원법을 제정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핀테크 기업들이 엑시트(출구전략)를 어떻게 할지 고민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금융회사가 핀테크를 인수할 수 있어야 하지만 현행 법제도에서는 금융회사가 IT기업을 인수하는데 애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단장은 “이에 (법제정으로) 일정 부분 금융회사가 핀테크 기업에 투자하거나 인수합병이 가능하도록 하려고 한다”며 “법에는 다양한 핀테크 기업 지원 장치를 담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금융위 "금융회사의 핀테크 인수 허용 추진"

이와 관련해 금융위는 핀테크육성지원법 제정을 연구용역을 오는 10월까지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입법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2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 행사에 참석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 홈페이지]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2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 행사에 참석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 홈페이지]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에 참석했던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오는 9월까지 정부에 신고를 마친 가상자산 사업자(거래소)를 통해 거래하는 투자자들의 투자 자금은 자연스럽게 보호가 된다”고 말했다.

⦁ 은성수 "등록 가상자산 거래소 이용자 자연스럽게 보호"

지난 4월 22일 은성수 위원장은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특금법 시행으로 가상자산 거래소 등록을 받고 있는데 현재까지 등록한 업체는 없다”며 “가상자산 거래소가 200개가 있지만 다 폐쇄가 될 수 있다. 9월에 갑자기 폐쇄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한반 물러나 신고된 가상자산 거래소를 이용할 것을 권고했다.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1에는 금융결제원, 금융보안원, 세틀뱅크, 베스트빈, NHN페이코, 뱅크웨어글로벌 등 다양한 금융, 핀테크 기업들이 참여했다.

26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8월 5일 가명정보 결합제도 시행 이후 신용정보법에 따른 데이터 전문기관을 통해 총 111개의 데이터가 결합됐다고 밝혔다.

⦁ 금융당국 “법개정 후 111개 금융데이터 결합”

금융당국은 데이터 결합을 지원하기 위해 8월 6일 신용정보원, 금융보안원을 시작으로 총 4곳의 데이터 전문기관을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5월 25일 기준으로 데이터 전문기관을 통해 111개의 데이터가 결합돼 총 41건의 데이터 결합이 완료됐다.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혁신준비법인은 인터넷 전문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을 2023년까지 30% 이상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사진: 각사]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혁신준비법인은 인터넷 전문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을 2023년까지 30% 이상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사진: 각사]

27일 금융위, 금감원,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혁신준비법인은 인터넷 전문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을 2023년까지 30% 이상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 인터넷 전문은행 중‧저신용 대출 늘린다...2023년까지 30%로

케이뱅크가 2016년 12월 인가를 받아 2017년 4월 영업을 개시했으며, 카카오뱅크는 2017년 4월 인가를 받아 그해 7월 영업을 시작했다. 토스뱅크는 2019년 12월 예비인가를 받아 영업을 준비 중이다.

인터넷 전문은행들은 2023년까지 매년 연 단위 계획을 수립해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을 높일 계획이다.

26일 케이뱅크가 이사회를 열고 약 1조2499억원 규모(약 1억9229만주)의 유상증자를 의결했다.

증자가 마무리되면 케이뱅크의 납입 자본금은 9017억원에서 2조1515억원으로 두배 이상 늘게 된다. 케이뱅크는 확충된 자본력을 바탕으로 신규 상품 및 서비스 개발, 대형 플랫폼과의 협력 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 케이뱅크, 1조2500억원 유상증자..."디지털 금융 플랫폼 도약"

금융위원회는 31일부터 카드사도 오픈뱅킹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신한카드, KB국민카드, 우리카드를 시작으로 롯데카드는 6월말, 현대카드와 하나카드는 8월말, 삼성카드는 9월말까지 순차적으로 오픈뱅킹 서비스를 시행할 예정이다.

오픈뱅킹은 하나의 앱으로 고객이 가진 계좌들을 조회하고 자금을 이체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다.

⦁ 5월 31일부터 카드사도 오픈뱅킹 참

◆ 이번 주에는 어떤 일이?

KB국민은행이 ‘2021 KB굿잡 온택트 취업박람회’를 5월 31일~6월 11일까지 비대면으로 진행한다.

[사진: KB국민은행]
[사진: KB국민은행]

KB국민은행은 2011년 중소·중견기업들과 청년 구직자들을 매칭시켜주는 KB굿잡 사업에 나섰다. 2011년 211개 기업이 참여해 1088명이 채용된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 말까지 1만4860명의 취업을 지원했다.

KB굿잡은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서울 코엑스, 일산 킨텍스, 부산 벡스코 등에서 오프라인 박람회 형태로 열렸다. 하지만 지난해 코로나19 여파로 처음으로 온라인 방식으로 개최됐고 이번 행사도 비대면 방식으로 열린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