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 과기정통부]](https://cdn.digitaltoday.co.kr/news/photo/202105/403196_401867_845.png)
[세종=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정부가 올해 데이터 바우처 지원사업에 1000여억원을 투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 데이터 바우처 지원사업’의 수요기업 최종 선정 결과를 24일 밝혔다.
데이터 바우처 사업은 데이터 활용 비즈니스 및 제품·서비스 개발이 필요한 기업에게 바우처 형식의 구매·가공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일반부문과 사회현안 부문 총 2580개의 기업·기관을 지원한다. 세부적으로 구매 1200건, 일반가공 480건, 인공지능(AI)가공 900건을 선택했다. 예산은 1230억원 규모다.
산업분야별 비중은 비(非) ICT기업의 신청건수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제조(22.4%), 유통(11.4%), 문화(8.7%), 통신(8.6%), 교육(3.9%) 등 5개 산업분야가 전체 선정건수의 55%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지역별 비중은 2020년의 경우 총 2천40건 중 수도권 1472건(72.2%), 비수도권 568건(27.8%)이었으나 올해에는 2580건 중 수도권 1724건(66.8%), 비수도권 856건(33.2%)으로 전년대비 비수도권의 선정 비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활용을 통한 변화와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정부부처의 전문분야 협력을 13개에서 15개 부처로 확대하고 소속 전문기관과 협력해 분야별 수요발굴을 추진했다.
지역의 데이터 활용 역량을 균형 있게 향상시키기 위해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제주 등 지자체와 협력해 다양한 지역기업 대상 수요발굴을 추진하였으며, 향후, 지역거점별 주력산업과 연계해 지역별 대표성과를 발굴하고 지역 중소기업의 참여율을 높여나갈 예정이다.
올해는 스쿨존 내 사각지대에서 어린이를 인식해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 어린이 보호 알림이 속도 표출 신호등’, 영유아 질병을 비대면으로 조기에 신속히 진단할 수 있는 ‘영유아 건강신호등 챗봇 서비스’ 등 국민 편익이 높은 과제를 선정해 지원한다.
전기차 충전 정보와 캠핑관련 정보를 지도 기반으로 시각화해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서비스, 혼합현실(MR)을 활용한 디지털 모델하우스, 인공지능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패션 추천 등 데이터 기반 혁신적이고 새로운 서비스 창출 과제도 구현해나갈 계획이다.
송경희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데이터 바우처 사업은 데이터 활용 기업에게 맞춤형 데이터와 가공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 판매·가공 기업에게 데이터 상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참여기업의 만족도가 높고 데이터 산업 성장을 견인하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