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보건·의료, 금융 등 다양한 데이터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클라우드 기반에서 의료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축적·활용할 수 있는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P-HIS)’에 대한 조기 확산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클라우드 기반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P-HIS)의 국내외 조기 확산을 모색하기 위해 14일 참여기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P-HIS는 진료지원, 원무행정 등 다양한 병원업무가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비스되도록 38개 모듈로 개발됐고, 지난 3월 27일 고려대 안암병원이 기존 시스템을 P-HIS로 완전히 전환하는데 성공함에 따라 본격적인 P-HIS 확산이 예상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고려대의료원의 의료진과 참여기업인 삼성SDS, 비트컴퓨터, 소프트넷, 네이버클라우드, 휴니버스글로벌 등의 기업인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P-HIS 운영현장을 둘러보고 국내외 의료기관의 P-HIS 도입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의견과 애로사항을 논의했다.
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가 지난 2017년부터 5년간 약 200억 원을 투자해 개발한 P-HIS는 진료정보 상호운용성에 필요한 국제표준규격에 맞게 개발돼 병원 간 정보교류에 유용하다.
P-HIS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비스돼 초기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데이터와 시스템 표준화를 통해 환자데이터 공유 및 체계적인 의료 빅데이터 구축이 가능해 다양한 정밀의료 서비스 제공의 기반이 된다는 설명이다.
이번 간담회를 주재한 박윤규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P-HIS가 확산되면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서비스 보급은 물론 의료 빅데이터의 축적과 활용성을 크게 높여 국내 의료시장의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며 “정부도 국내 기술로 개발된 P-HIS의 국내외 보급과 확산이 조기에 이루어지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롯데홈쇼핑 5년 재승인 결정
- 정부 "신뢰할 수 있는 AI 전략, 규제보단 진흥에 무게"
- '신뢰할 수 있는 AI 실현 전략' 마련...원천기술 개발 핵심
- 과기정통부, 'AI 학습용 데이터 사업' 2차 공모
- 과기정통부, 올해 공중케이블·전기줄 정비에 5000억원 투입
- 과기정통부·경찰청, 가상자산 해킹 공동 대응 나선다
- ICT 수출 11개월 연속 상승세, 반도체·디스플레이·휴대폰의 힘
- 과기정통부, 13년 만에 GS인증 기관·분야 확대
- 과기정통부, '글로벌 ICT 유니콘' 15개 키운다
- 정부, 선택약정할인 홍보 캠페인 진행
- 과기정통부, '메타버스 얼라이언스' 출범...생태계 조성
- 삼성SDS, 서비스형 블록체인 사업 본격 시동...문서 위변조 방지부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