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아 그동안 협력해온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자동 자막·수어방송 자동변환 기술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과 오용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진흥정책관, 장애인대표, 관련 연구기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개최한 이날 행사에서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개발한 ‘음성-자막변환기술’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개발한 ‘장애인방송 시청 지원 감성표현 서비스’ 기술이 시연됐다.
음성-자막 자동변환 기술은 인공지능(AI)의 음성인식 기술을 활용해 모바일기기(스마트폰‧태블릿PC 등)의 음성을 자막으로 자동 변환 후 화면에 표시해 주는 것으로, 청각장애인들이 인터넷 동영상을 감상할 때 자막을 지원하는 기술이다.
장애인방송 시청 지원 감성표현 서비스 기술은 시·청각장애인의 미디어 접근권 향상을 위해 청각장애인에게 시·공간의 제약 없이 아바타 수어로 음성·자막을 변환해 제공하는 기술과 다양한 감정을 음성으로 변환해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할 수 있는 화면해설방송기술로 구성돼 있다.
과기정통부와 방통위는 지난 2019년부터 음성·자막·수어 자동변환 시스템을 개발하고 연계해 감성표현이 가능한 아바타 수어 서비스의 방송활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 "코로나 백신 개발 집중, 한국형 뉴딜 완성"
- 과기정통부, 양자기술 연구생태계 조성…인재 양성 나서
- 과기정통부, 중앙전파관리소 증축...설계 공모 시작
-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 “28㎓ 대역도 이통3사 공동 구축, 올해 목표 달성”
-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5G 모듈·단말 개발 현황 점검 나서
- 과기정통부, 디지털 뉴딜 핵심 AI·SW 인재 양성 나서
- 5G SA 상반기 내 상용화? SKT '불투명' · KT '예정' · LGU+ '연내'
- 과기정통부, 콘텐츠 제작지원에 212억 투자…143편 선정나서
- 방통위, 성인광고·음란물 스팸 단속 나서...위반사업자 적발
- '지상파 중간광고' 7월부터…'방송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 방통위, 불법촬영물 신고·삭제요청 기관·단체 3곳 추가
- 과기정통부, MEC 융합 서비스 참여 업체에 KT·LGU+ 선정
- 6G 시대 경쟁력 확보 나선다…R&D 전략 위원회 준비회의 개최
- 방통위, 위치정보 우수 사업 모델 발굴 나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