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5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통신사 상호협력을 위한 협약체결식'에 참석해 기념촬영 하고 있다 [사진 : 과기정통부]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5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통신사 상호협력을 위한 협약체결식'에 참석해 기념촬영 하고 있다 [사진 : 과기정통부]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5G 상용화가 이뤄지지 않는 기업간거래(B2B)용 28㎓ 대역 기지국도 이통3사의 공동 구축(로밍)을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이통사 각사당 1만5000대(국)씩 의무 구축해야 하는데 로밍을 통해 어렵지 않게 1만5000국 목표 달성에 가까워질 수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최 장관은 15일 오전 여의도 켄싱턴호텔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5G 28㎓ 대역 기지국 의무 구축도 5G 전국망 3.5㎓ 대역 농어촌 지역처럼 공동 구축을 생각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날 최 장관은 박정호 SK텔레콤 대표, 구현모 KT 대표,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 등 이통3사 대표들과 함께 농어촌 지역망 공동이용에 협력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하기 위해 간담회를 가졌다.

정부와 이통사는 5G 공동이용 서비스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대상 지역은 인구 밀도, 데이터 트래픽 등을 고려해 131개 시·군에 소재한 읍면을 대상으로 정했다. 해당 지역들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15%가 거주하고, 1㎢당 인구수가 약 92명인 곳으로, 통신3사가 각자 기지국을 구축하는 지역(전체 인구의 약 85%, 1㎢당 인구 약 3490명)에 비해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이다.

5G 공동이용망 지역에서는 통신3사 5G 이용자 뿐 아니라, 해외 입국자나 알뜰폰(MVNO)  가입자에도 차별 없이 공동이용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지역별 망 구축 분배는 지역별 설비 구축 수량, 트래픽 등을 고려했다. 

SK텔레콤은 경기도 일부, 경상남도 일부, 세종특별자치시, 인천광역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일부 지역을 담당한다. KT는 강원도 일부, 경기도 일부, 경상남도 일부, 경상북도, 충청북도 일부 지역을 맡았다. LG유플러스는 강원도 일부,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을 맡게 된다. 

이에 따라 이번 협약으로 SK텔레콤이 5G를 구축한 농어촌 지역에서도 KT나 LG유플러스 가입자들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최 장관은 농어촌 지역뿐 아니라 올해 각사당 1만5000대씩 의무 구축해야 하는 5G 28㎓ 대역 기지국 역시 공동 구축을 추진할 수 있다고 언급한 것이다.

1만5000국은 이통3사가 2018년 진행된 5G 주파수 경매에서 해당 대역을 받아가면서 3년 내 구축해야 하는 의무 수치다. 하지만 실제 구축 수는 수백여 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올해 내 각사당 1만5000대를 설치 못할 경우 주파수 할당 기간 단축은 물론 할당 취소에 이를 수 있다. 

최 장관은 이에 대해 “올해3사 (3.5㎓ 농어촌 지역 공동) 구축 많이 하게 된다. 효과는 똑같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것(28㎓ 대역 기지국)은 이통사들 구축하는 걸 각자 하는 걸로 해줄 수가 있다. 그럼 같은 효과 내는 걸로 생각하면 아마 크게 어렵지 않게 1만5000국 목표 달성 맞출 수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