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방송통신위원회는 서울행정법원의 매일방송(MBN)에 대한 재승인조건 효력정지 결정에 대해 즉시항고했다고 30일 밝혔다. 지난 24일 서울행정법원 행정11부(강우찬 부장판사)는 MBN이 방통위를 상대로 제기한 방송채널사용사업 재승인처분 효력정지 신청 사건을 일부 인용한 데 따른 것이다.
방통위는 MBN에 부가한 모든 재승인 조건이 방송의 공적책임‧공정성 이행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고 강조했다.
법원의 결정으로 업무정지 행정처분으로 MBN에 발생하는 피해를 최대주주 및 대표이사, 이번 사건과 관련된 임직원 당사자가 경제적으로 책임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는 조건은 효력이 정지됐다. 또 대표이사를 방송전문경영인으로 선임하고 대표 선임에 참여하는 공모 심사위원에 MBN 종사자 대표를 포함시키도록 한 조건도 함께 효력이 정지됐다.
방통위는 두 조건의 효력이 정지돼 방송의 공적책임‧공정성‧공익성 및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조건부 재승인 처분의 취지가 퇴색해 공공복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다.
방통위 방송지원정책과 관계자는 "효력정지 신청이 기각된 조건인 자본금 증가방안과 마찬가지로 집행정지가 인용된 조건도 MBN에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없다"며 "그 손해를 예방하기 위해 긴급한 필요가 있다고 보기도 어려우므로 추가적인 법원의 판단을 구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방통위, 지역방송 콘텐츠 강화…16개사에 31억 지원
- 방통위, '알아두면 쓸모있는 통신요금제 정보' 유튜브에 공개
- 방통위는 왜 전기통신사업법 대신 특별법으로 온라인 플랫폼 규제 나섰나
- 방통위·공정위, 온라인 플랫폼 규제법 따로따로...뭐가 다르지?
- 방통위, 개인방송 별풍선 피해 막는다...법 개정 추진
- 방통위, 구글·네이버 등 불법촬영물 처리 관련 투명성 보고서 공개
- 한상혁 위원장, 제주 지역 방송통신 현장방문
- 방통위, 21개 프로그램 제작지원...공동체 라디오방송 콘텐츠 강화
- LG헬로비전-티캐스트, 프로그램 사용료 분쟁 마무리
- 방통위, 성인광고·음란물 스팸 단속 나서...위반사업자 적발
- '지상파 중간광고' 7월부터…'방송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 방통위, 불법촬영물 신고·삭제요청 기관·단체 3곳 추가
- 방통위, 위치정보법 위반 랜덤채팅앱 사업자 90개 수사 의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