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은 라임·옵티머스 펀드 등 5대 사모펀드에 대한 분쟁 조정을 상반기 중으로 마무리하겠다고 21일 밝혔다. 나머지 펀드에 대해서도 검사 결과를 통해 사실 관계가 확인되면 제재 확정 전에도 분쟁 조정 절차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환매가 연기된 펀드 규모는 6조8479억원(사모펀드 6조6482억원·공모 1997억원)이다.
이와 관련해 발생한 분쟁 민원은 1787건에 달한다. 특히 라임·옵티머스·헤리티지·디스커버리·헬스케어 펀드 등 5개 펀드가 2조8845억원(42%), 분쟁 건수 1370건(77%)으로 상당 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라임 펀드는 수습 국면"이라면서 "옵티머스 등 소비자 피해가 큰 나머지 사모펀드를 중심으로 신속히 투자자를 구제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1조4000억원대 환매 중단을 일으킨 라임 펀드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약 1조1000억원 규모 피해 구제가 이뤄졌다. 착오에 의한 계약 취소(1611억원)·사후 정산 방식 손해배상(3548억원)·배상금 일부 선지급 또는 사적 화해(약 6000억원·지난해 말 기준) 등이다.
옵티머스 펀드(5209억원 규모)에 대해서는 내달 초 분쟁조정위원회가 열린다. 금감원은 라임 무역금융 펀드와 마찬가지로 '착오에 의한 계약 취소'를 적용해 원금 전액 반환을 권고할 것으로 알려졌다.
헤리티지(펀드 규모 5209억원)·디스커버리(2562억원)·헬스케어 펀드(1849억원)에 대해서는 5월 말부터 분쟁조정을 진행한다.

금감원은 지금까지 사모펀드와 관련해 28개 금융회사(우리·하나은행 중복 집계)를 검사했다. 8곳에 대해서는 조치가 끝났고 20곳은 제재 절차가 진행 중이다.
라임·옵티머스·헤리티지·디스커버리 펀드를 판매한 주요 금융사에 대해서는 제재심의위원회가 끝났거나 진행 중이고 헬스케어 펀드 판매사에 대한 제재심은 4월 말께 열릴 예정이다.
금감원은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제재를 마무리할 예정"이라며 "법과 원칙에 따라 일관되고 공정하게 제재하겠다"고 강조했다. 비교적 작은 규모로 5대 펀드를 팔았던 기타 금융사에 대해서는 올해 중 검사를 벌인 뒤 제재를 추진한다.
아울러 금감원은 지난해 8월 시작한 전문투자형 사모펀드 자율 점검을 상반기까지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잠정 9043개 펀드 중 81.9%에 대한 점검이 지금까지 이뤄졌다.
운용사·판매사·신탁업자·사무관리회사 등 업계가 운용자산의 실재성, 투자제안서와의 일치 여부 등을 확인했는데 중요한 특이사항은 보고되지 않았다고 한다.
금감원 및 관계기관 직원 30명으로 구성된 전문 사모 운용사 전담검사단은 작년 7월부터 운용사 20곳(전체 233개 중 8.6%)을 검사했다.
대규모 불법 운용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일부 운용역이 사익을 추구하거나 판매사에 의존해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펀드를 운용한 것 등이 적발됐다.
한편 2019년 대규모 손실·불완전 판매로 논란이 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는 작년 말까지 투자자 2876명 가운데 2808명(97.6%)이 평균 58.4%의 비율(손해액 4453억원 중 2470억원)로 손해를 배상받은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
[연합뉴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금감원 "라임 펀드 관련 우리·신한은행 제재 결정 또 연기"
- 금감원, 보이스피싱 기승에 금융권 공동 대응 5번째 연장
- 우리은행, 금감원 라임펀드 분쟁조정안 수용 결정
- 금감원 "백신 투자 유혹하는 금융사기 주의보"
- 금융IT 감독방향 바뀐다...전자금융·핀테크 생태계 활성화 방점
- 금감원, 신한은행에 과태료 21억...서울시 금고 따려 400억 웃돈 제공
- 금감원 "라임 펀드 우리, 신한은행 제재 결정 3월 18일로 유보"
- 금감원, 라임펀드 판매 우리은행·IBK기업은행 배상비율 65~78% 결정
- 시민단체들, 주총 맞춰 신한·하나·KB·우리금융 펀드 사태 책임 추궁
- 옵티머스 사태 NH투자 대표에 중징계...수탁사 하나은행도 제재
- 금감원, 신한은행에 라임 펀드 40~80% 배상 결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