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김현우 인턴기자] 디앱(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분산 응용이라고도 한다.

디앱은 기존의 애플리케이션과 달리 중앙에서 관리하는 서버가 없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중앙 서버 없이 네트워크 상에 정보를 분산해 저장 및 구동한다. 개인대개인(P2P) 형태로 작동하기 때문에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이다.
개인간 네트워크인 블록체인에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해킹이 어렵다. 블록체인에 기록된 거래 내역은 모두 공개되고, 생성 후 삭제나 변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일부 블록이 다운돼도 다른 블록들이 동일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디앱은 스마트계약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구성된다. 스마트계약은 디앱의 핵심 기술로 계약 조건을 블록체인에 기록한 후 조건이 충족됐을 경우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되게 하는 프로그램이다. 디앱은 UI를 이용해 블록체인에 기록된 스마트계약을 실행시키는 방식으로 업무를 수행한다.
또 개발자가 계약의 조건, 내용을 코딩할 수 있어 어떤 종류의 계약에도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계약을 통해 사용자와 제공자는 금융, 보험, 부동산, 소셜네트워크, 게임 등 다양한 분야의 거래에 디앱을 활용할 수 있다.
디앱의 핵심 기술인 스마트계약은 이더리움(Ethereum, ETH) 개발자인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개발했다. 비탈릭 부테린은 2013년 '차세대 스마트 계약과 탈중앙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이라는 제목의 백서를 발간했다. 그는 이 백서에서 디앱을 만들기 위한 새로운 오픈 소스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의 개념을 정립했다.
이후 2015년 새로운 블록체인 플랫폼인 이더리움 개발에 성공했고, 이더리움에 스마트계약 기능을 구현했다. 블록체인에서 운용되는 디앱의 특성상 토큰 이라는 거래 수단이 필요했고,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토큰을 발행해 암호화폐로 상장했다. 즉 이더리움은 암호화폐이자 스마트계약을 실현하는 플랫폼 자체라고 볼 수 있다.
그해 이더리움은 'Hello World'라는 단어만 언급한 최초의 디앱을 선보였고, 이는 디앱 성장의 시초가 됐다. 이후 2017년부터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해 크립토키티(CrytoKitties), 아이덱스(IDEX), 어거(Augur) 등 게임, 거래소, 미래예측, 구직시장 등의 기능을 가진 1600종 이상의 디앱들이 개발됐다.
크립토키티는 대표적인 디앱 성공사례로, 2017년 12월 액시엄 젠(Axiom Zen)이라는 개발사에서 출시한 게임이다. 개인이 키운 디지털 고양이를 가상자산(암호화폐)을 통해 사고파는 방식이다. 출시한지 2주만에 150만명의 사용자와 1500만달러 규모의 거래를 달성해 가장 성공한 디앱 중 하나로 평가된다.
최근의 디앱들은 또 다른 암호화폐인 이오스(EOS)와 트론(TRON) 블록체인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스팀(Steem)을 이용하는 디앱들도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현재 대부분의 디앱은 게임으로, 거래량의 80% 이상이 게임 형태의 디앱에서 발생하고 있다.

다만 네트워크 부하와 수수료 증가라는 문제점이 디앱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에 디앱을 필두로 한 블록체인 플랫폼이 성장하기 위해선 더 높은 수준의 편의성과 효용성을 확보한 '킬러댑'(Killer Dapp)이 등장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라인 블록체인 기반 디앱들 속속 등장...게임부터 전자계약서비스까지
- [디투피플] "디파이 넘어 디앱에도 여전히 기회 있다"...왜?
- [테크인사이드] 디앱에서 디파이로, 클레이튼의 과감한 변신 스토리
- 아톰릭스랩, 베팅형 여론조사 디앱 '블라인드 마인드' 시즌 제로 공개
- 현대페이, 블록체인 기반 부산 여행 디앱 '블록패스' 출시
- 이드콘 한국 2020, 이더리움 해커톤 수상팀 발표
- 억만장자 마크 큐반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에 주목"
- 비트코인 대신 '이더리움'… 거래가·거래량 최고치 경신
- "MS 익스체인지 서버 버그 악용 해킹에 미국서만 수십만 고객 영향권"

